10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외신은 영국 국제교류 전문업체 헨리앤드파트너스를 인용해 한국이 핀란드·스웨덴과 함께 공동 2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헨리앤드파트너스의 여권 지수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자료를 바탕으로 특정 국가의 여권 소지자가 입국 전 비자 발급 없이 도착할 수 있는 국가가 몇 개국인지를 지수화한 것이다.
2024년 1분기 여권 지수에 따르면 한국 여권으로는 193개국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 한국은 지난해 일본과 함께 공동 3위를 차지했다.
올해 공동 1위는 일본·싱가포르·프랑스·독일·이탈리아·스페인 등 6개국이다. 이들 국민은 194개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했다. 이는 헨리여권지수가 19년간 순위를 집계한 이후 가장 많은 수치로 나타났다.
공동 3위는 오스트리아, 덴마크, 아일랜드, 네덜란드 여권으로 192개국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
10위까지는 대부분 유럽 국가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나라 수의 차이가 크지는 않았다.
지난 10년 동안 이 지수에서 가장 큰 순위 상승을 보인 국가는 아랍에미리트(UAE)였다. 2014년 55위(77개국)였던 UAE는 10년 사이 106개국이 추가돼 올해 11위를 차지했다.
또 중국은 올해 82위로 올라섰으며 우크라이나 역시 32위에 오르면서 가파른 순위 상승을 보여줬다고 헨리앤드파트너스는 전했다.
헨리 여권 지수 창시자인 헨리앤파트너스의 크리스티안 케일린 회장은 “지난 20년 동안 여행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상위권과 하위권의 격차는 커지고 있다”며 “여행객이 무비자로 갈 수 있는 평균 국가 수는 2006년 58개에서 2024년 111개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여권 파워 최하위 국가는 아프가니스탄으로, 28개국만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 또 시리아(29개국·103위), 이라크(31개국·102위) 등도 최하위권이었다. 북한의 경우 42개국으로 방글라데시와 공동 97위를 차지했다.
김예슬 동아닷컴 기자 seul56@donga.com
좋아요
34개
슬퍼요
0개
화나요
4개
댓글 7
추천 많은 댓글
2024-01-11 15:03:34
이 모두그 박정희 전두환 전 대통령님들 덕분이다. 민주주의 한다는것들이 한짓 이란건 고작 멀쩡한 나라 부도낸 김영삼이. 카드남발로 멀쩡한 가정들 일가족 동반자살 시킨 김대중이 바다이야기로 일가족 동반자살 시킨 노무현이 탈원전 태양광 사기로 전국토를 쑥대밭 만든 문재인이. 민주주의 한다는 대통령 네놈은 대한민국 만고의 역적놈들이다.
2024-01-11 15:26:57
공동 1위 국가와 차이는 바로 중국이다. 중국은 한국인에게 비자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탈북민 출신 한국 국적자에 대해 별도의 서류를 요구해 차별적으로 비자 발급을 거부하고 있다.
2024-01-11 15:13:38
무슨 순위가 저따위냐? 공동 1위가 6개면 그 다음은 7위지 무슨 헛소리. 기자들 아이큐가 몇이냐?
이만큼 국력과 민주화 나라의신용도 이런모든결과 이루어낸 성과겠죠 그런데 이런것도 음해하는이들이 많네요
2024-01-12 12:49:19
윗분 말씀대로 일본처럼 한국여권도 중국무비자면 울나라도 여권파워1위죠~ 헌데 이문제 모르고 계시는 분들 많으신데 중국탓할께 아니라 울나라 한국 법무부를 탓해야합니다 일본이 중국 2주짜리 무비자 조건 중국에서 받을때 중국에서 한국도 같이 2주 무비자 혜택 주겠다고 했는데 법무부에서 개거품 무는 바람에 무산됐답니다 ㅎ 이유인즉슨 범죄자 중국도피 쉬워진다는건 이건요 당시 일본이 더~ 리스크가 많았어요 그래도 더 많은 국민의 편의가 중요했기에 일본에선 중국무비자 받아들였고 울나라는 한국 법무부 지들 편의 위해서 전국민 불편 가중시켰죠 ㅎ
2024-01-11 15:40:53
공동1위가 6명이면, 그 다음은 7위가 되는 겁니다. 기자 맞나요?
2024-01-11 15:26:57
공동 1위 국가와 차이는 바로 중국이다. 중국은 한국인에게 비자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탈북민 출신 한국 국적자에 대해 별도의 서류를 요구해 차별적으로 비자 발급을 거부하고 있다.
2024-01-11 15:20:58
여권 파워가 엄청난 성장을 하였다.여권파워로 민간 외교가 활성화되어 한국을 알릴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해외에 나가서 좋은 인상도 줄 수 있고, 반대로 나쁜 인상을 줄 수도 있지만..어쨋든 민간 외교와 한국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니..하지만 한국 여권 파워는 세계 2위지만 국가 외교력은 발전을 하지 못하고 있으니.외교력,전문성,외교정책등이 떨어지니..한국의 외교력은 세계에서 어느정도 영향력이 있을지?장기 계획으로 외교정책을 세우고 전문가를 양성하여 외교력을 키워야 하지만...외교자체가 국내정치적 이익을 위한 수단이 되어버렸으니..
2024-01-11 15:13:38
무슨 순위가 저따위냐? 공동 1위가 6개면 그 다음은 7위지 무슨 헛소리. 기자들 아이큐가 몇이냐?
2024-01-11 15:03:34
이 모두그 박정희 전두환 전 대통령님들 덕분이다. 민주주의 한다는것들이 한짓 이란건 고작 멀쩡한 나라 부도낸 김영삼이. 카드남발로 멀쩡한 가정들 일가족 동반자살 시킨 김대중이 바다이야기로 일가족 동반자살 시킨 노무현이 탈원전 태양광 사기로 전국토를 쑥대밭 만든 문재인이. 민주주의 한다는 대통령 네놈은 대한민국 만고의 역적놈들이다.
댓글 7
추천 많은 댓글
2024-01-11 15:03:34
이 모두그 박정희 전두환 전 대통령님들 덕분이다. 민주주의 한다는것들이 한짓 이란건 고작 멀쩡한 나라 부도낸 김영삼이. 카드남발로 멀쩡한 가정들 일가족 동반자살 시킨 김대중이 바다이야기로 일가족 동반자살 시킨 노무현이 탈원전 태양광 사기로 전국토를 쑥대밭 만든 문재인이. 민주주의 한다는 대통령 네놈은 대한민국 만고의 역적놈들이다.
2024-01-11 15:26:57
공동 1위 국가와 차이는 바로 중국이다. 중국은 한국인에게 비자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탈북민 출신 한국 국적자에 대해 별도의 서류를 요구해 차별적으로 비자 발급을 거부하고 있다.
2024-01-11 15:13:38
무슨 순위가 저따위냐? 공동 1위가 6개면 그 다음은 7위지 무슨 헛소리. 기자들 아이큐가 몇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