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러 석유 수입 단계적 중단·금지”…美, 부차 학살 연루자 제재

  • 뉴시스
  • 입력 2022년 5월 9일 09시 58분


코멘트
러시아 전승절을 하루 앞둔 8일(현지시간) 주요7개국(G7)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거나 금지하기로 약속했다.

G7은 이날 공동성명을 발표해 “러시아 석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거나 금지해,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단계적으로 없애기로 약속한다”고 밝혔다.

이어 “시기적절하고 질서 있는 방식으로 세계가 대체 물자를 확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할 것”이라며 “화석 연료 의존도 감소와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포함해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세계 에너지 공급과 합리적인 가격 보장을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우크라이나가 재정 격차를 해소하고 국민에게 기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동 금융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당국 및 국제 금융 기관과 협력해 장기적 회복과 재건을 지원하는 선택지들을 개발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러시아가 의존하는 주요 서비스 제공을 금지하고, 러시아 금융 제도에 치명적인 러시아 은행에 대한 행동도 계속하겠다”고 덧붙였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쟁을 지지하는 금융 엘리트와 가족에 대한 제재도 강화하겠다고 했다.

우크라이나 추가 군사 지원과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 방어, 우크라이나 경제 및 에너지 안보 증진 등을 계속 지원하고 정보 보안 등 협력을 확대하겠다고도 했다.

G7은 “(2차 세계대전 종전) 77년 후 푸틴 대통령과 그 정권은 주권 국가에 이유 없는 침략 전쟁을 일으켜 우크라이나를 침략했다”며 “2차 세계대전 이후 고안된 국제 규칙 기반 질서와 특히 유엔 헌장을 위반했다”고 규탄했다.

미국 백악관은 G7 정상회의 직후 별도로 성명을 올려 ▲러시아 내 국가 통제 언론사 제재 ▲회계 및 신탁, 기업 설립, 컨설팅 등 서비스 제재 ▲러시아 석유 수입 차단 등 에너지 의존도 축소 ▲ 러시아 추가 수출 통제와 제재 ▲러시아 고위층과 가족 제재 등 추가 제재를 발표했다.

언론사 제재 관련 “푸틴의 전쟁을 부추기는 언론사를 대상으로 제재를 단행한다”면서 “러시아에서 시청률이 가장 높고 직·간접적으로 국가 통제를 받는 방송사 3곳을 제재할 것”이라며 밝혔다. 대상은 채널-1, 로시야-1, NTV다.

백악관은 또 “이들 방송사는 외국으로부터 수익을 가장 많이 벌어들이는 곳으로, 이는 러시아 국가의 수입으로 되돌아간다”고 강조했다.

서비스 제한에 대해 백악관은 “미국인들이 러시아인들에게 회계 및 신탁, 기업 설립,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한다”며 “러시아 기업과 특권층의 부를 축적해 푸틴의 전쟁 장비를 위한 수익을 창출하고, 그 부를 숨기고 제재를 회피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백악관은 “러시아 석유 수입을 차단하고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로 했다”면서 “푸틴 경제의 동맥을 강력하게 타격하고 전쟁 자금을 대는 데 필요한 수입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추가 수출 제한 관련 “(러시아산) 목제 제품, 산업용 엔진, 보일러, 모터, 팬, 환기 장비, 불도저 등을 포함해 푸틴 대통령의 전쟁 노력을 직접적으로 떨어뜨리는 새로운 수출통제 제한을 가한다”고 밝혔다.

총기 제조업체 프롬테크놀로지야(Promtekhnologiya), 선박 69척을 운용하는 7개 해운사, 해상 예인 기업도 제재 대상에 올렸다.

특히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가 러시아에 대한 원료, 특수 핵물질, 부산물, 중수소 등 수출에 대한 일반 인가를 중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인원 제재와 관련해 백악관은 ”인권침해, 국제 인도주의법 위반, 부패 등에 연루된 러시아군 관계자 등에 대해 추가로 비자 제한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인근 부차에서 민간인 학살을 가담한 의심을 받는 인사도 포함됐다.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인 가스프롬의 금융 자회사 가스프롬방크 고위 경영진 27명과 러시아 금융 자산의 3분의 1을 소유한 최대 금융기관 스베르방크의 경영진 8명, 러시아 산업은행 및 자회사 10곳도 추가 제재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초대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