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 300만㎡로 넓어진다… 개장시기는 사실상 ‘무기한 연기’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2월 27일 10시 38분


코멘트
용산공원 조감도.
용산공원 조감도.
서울 용산미군기지가 경기 평택으로 완전 이전한 뒤 조성될 용산공원 규모가 당초 계획보다 20% 이상 늘어난 300만㎡로 정해졌다. 또 공원의 개장시점은 2027년에서 ‘미군기지가 완전히 반환된 뒤 7년 후’로 대폭 늦춰졌다. 사실상 무기 연기된 셈이다.

공원 조성사업에는 당초(1조2000억 원)보다 1.78배 늘어난 2조1400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됐다. 재원은 국가와 서울시가 분담하되, 일부 시설에 대해서는 민간자본을 유치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을 확정했다고 27일(오늘) 발표했다. 용산공원 조성계획은 2011년에 수립됐고, 2014년에 한 차례 바뀐 뒤 이번이 두 번째 변경이다.

● 용산공원 면적 57㎡ 늘어난다
변경계획에 따르면 공원면적이 당초 243만㎡에서 300만㎡로 약 57만㎡(23.5%)가 넓어졌다. 우선 용산공원 북단의 옛 방위사업청 부지(약 9만5000㎡)와 군인아파트 부지(4만5000㎡)가 편입됐다. 여기에 용산기지에 인접한 국립중앙박물관 및 용산가족공원(33만5000㎡)과 전쟁기념관(12만㎡)이 공원구역으로 편입됐다.

용산공원 북측에 들어설 예정이었던 주한 미국대사관 직원 숙소가 공원 밖으로 이전하면 용산공원은 303만㎡ 규모로 더 넓어질 수도 있다. 다만 용산공원 부지 한복판의 미군의 드래곤힐호텔(8만4000㎡)과 헬기장(5만7000㎡) 등은 공원구역에 포함되지 못했다.

이번에 추가된 공원 부지에는 입지상황을 고려한 개발계획이 마련된다.

옛방위사업청 및 군인아파트 부지에는 남산과 용산공원, 한강을 잇는 녹지공간과 주변지역을 둘러볼 수 있는 전망공간이 조성된다. 또 옛 해병대사령부 본관이나 해병대 초대교회 등 역사건축물은 그대로 두고, 문화예술프로그램 등에 활용된다.

전쟁기념관과 용산가족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부지에는 용산공원과 통행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출입구 등이 만들어진다. 전쟁기념관 야외전시공간에는 용산공원과 연결하는 공동 진입광장이 조성된다. 용산가족공원은 생태적 리모델링을 통해 공원의 생태성이 더욱 강화된다.

● 공원개장시점은 2027년에서 무기한 연기
용산공원은 당초 미군이 2016년까지 전체 기지를 반환하는 것을 전제로 2027년에 공원조성을 마치는 일정으로 추진돼 왔다. 하지만 기지 반환 일정이 미뤄지면서 계획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개장시기를 반환시점을 ‘N년’으로 정하고, ‘N+7년차’로 수정했다. 명확한 시점에 대해 못을 박지 못한 것이다. 다만 반환 이전에 할 수 있는 일들과 이후에 가능한 일들로 나누는 방식으로 일정 차질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우선 반환 이전까지는 조성계획 및 실시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전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부분적으로 반환된 부지는 국민들이 용산기지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미군기지 반환이 이뤄지면 1차적으로 3년 간 문화재 발굴과 기지 내 오염 정화정화공사를 진행하면서 기존 계획과 설계를 보완하고, 공원 조성이 가능한 부지에 대해서는 바로 공사를 시작하기로 했다. 이후 2단계로 기지 반환 3년차부터 7년차까지는 모든 조성공사를 단계적으로 완성해나가기로 했다.

용산공원 조성지구 기본구상. 국토교통부 제공. /뉴스1
용산공원 조성지구 기본구상. 국토교통부 제공. /뉴스1
변경 계획안에는 용산공원 국민참여단이 올해 7월 내놓은 7대 제안도 반영됐다. 24시간 안전하고 효율적인 공원 운영을 위해 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 공원’ 계획과 국민 의견을 수렴할 참여 플랫폼 구축, 탄소흡수 및 감축방안 마련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김복환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장은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용산공원이 자연과 문화, 역사와 미래가 어우러진 국민의 여가 휴식공간이 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총사업비는 2조1400억 원±α
국토부는 변경계획을 통해 공원조성비용으로 2조1400억 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다. 2014년 1차 변경계획 때 사업비(1조2000억 원)보다 1.78배 늘어난 규모다. 하지만 이 금액도 앞으로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토부가 앞으로 진행될 조성계획 및 실시계획 등을 통해 사업내용이 구체화되면 비용은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런 재원은 국가와 서울시가 적절하게 분담하게 되며, 일부 프로그램이나 시설은 민간자본으로 충당한다는 게 정부의 기본 방침이다.

또 용산공원이 조성되면 매년 350억 원 규모의 관리 및 운영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시설물 관리 및 유지에 250억 원, 콘텐츠 운영 및 개발 등에 최소 100억 원이 각각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대해서는 국가 부담을 원칙으로 하되, 시설사용료 및 임대료, 광고수입, 민간후원금, 행사유치 등을 통해 마련하기로 했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