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람들은 언제부터 도장을 사용했을까?[청계천 옆 사진관]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월 29일 13시 27분


코멘트
▶서울역사박물관장(최병구)은 29일 2023년 서울미래유산 기록 사업의 결과를 묶은 조사보고서 『서울의 인장포』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서울문화미래유산기록 네번째 보고서 [서울의 인장포]/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서울미래유산기록 사업은 2020년부터 근현대 시민들의 생활사를 주제별로 정리하는 작업이다. 이번에 발간된 『서울의 인장포』는 네 번째 작업이며 그 전에 발간된 보고서는 ▴낙원떡집 ▴서울의 대장간 ▴서울의 이용원이었다. 서울역사발물관에서 작성한 보도자료와 참고이미지를 바탕으로 하되, 동아일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진을 추가해 근현대사의 한 단면을 ‘도장 가게’라는 키워드로 살펴보았다.

서울시내에 있는 인장포 ‘박인당’/ 동아일보 DB

▶인장포는 말 그대로 인장을 제작하는 가게이다. 지금은 ‘컴퓨터 도장’이라고 불리는 기계 조각 인장이 등장했지만 그 전에는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깍아서 도장을 만들었었는데 그 작업을 했던 가게에 대한 기록이다.

▶조선시대 한국의 인장은 크게 새보(璽寶), 관인(官印), 사인(私印)으로 구분된다. 개인이 사용하던 인장인 사인(私印)은 서화(書畫)의 낙관(落款)이나 서적의 장서인(藏書印) 정도에 그쳤다.

김구-신규식 선생 임정직인 첫공개- 김구 주석의 직인(왼쪽)과 신규식 선생의 직인. 각각 ‘金九之印’ ‘申圭植印’이라고 새겨져 있다/ 동아일보 DB
인장이 보편적으로 사용된 것은 일제강점기 이후의 일이다. 조선총독부가 조선에서 일본인의 경제활동을 합법적으로 보호하고, 조선인들의 경제활동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1914년에 「인간증명규칙」을 반포하며 강제 도입됐다. 국가차원에서 인감 사용을 강제하면서 인감 도장을 만드는 가게도 성업하게 된 것이다.

▶ 1974년에는 「국가기술자격법」의 시행으로 인장공예기능사(1급· 급·기능사보)
자격시험 제도가 도입됐다. 하지만 응시 수요 감소로 인해 2004년에 폐지됐다. 2000년대 들어 컴퓨터 인장 제작과 서명 거래가 일반화되고, 공인인증서 도입 등을 거치며 인장업은 줄곧 사양산업의 길을 걷고 있다. 한편, 2000년대 이후 인장은 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를 확장하고 있다. ‘탯줄 도장’이나 ‘수제 도장’이라 불리는 캘리그래피 디자인 한글 인장이 대표적이다.

1976년 도장파기 경연대회 /동아일보 DB

1970년대 인장공예 기능사 실기시험/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이번 서울역사박물관의 조사 결과, 서울에서 1950년대부터 활동해 온 오래된 인장포 5곳과 인장 명장들이 새삼 조명을 받았다. 박인당(博印堂), 거인당(巨印堂), 옥새당(玉璽堂),
여원전인방(如原篆印房), 인예랑(印藝廊) 등 5곳이다.

□ 도심부 인장포의 터줏대감, 박인당(博印堂)의 박호영
○ 박인당은 인장포 중 유일하게 서울미래유산(2020-004호)로 지정됐다.1978년부터 관철동에서 ‘박인당’이란 상호로 운영하고 있다.
○ 박인당 박호영은 1938년에 함경남도 신흥군에서 출생한 피란민이다. 6· 5전쟁을겪으며 피란민의 배급 도장을 만든 것이 인장업에 종사하게 된 계기가 됐다. 1954년상경해 중구 신당동, 을지로5가, 수하동, 다동 등지에서 여러 인장포를 운영하며인장 기술을 익혔다. 2004년에 대한민국 인장공예 명장으로 선정됐다./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인장업의 혁신을 이끈, 거인당(巨印堂)의 유태흥
○ 거인당은 서울에서 유일한 인장 특성화 거리인 ‘창신동 인장의 거리’에 있다.창신동에서 손꼽히는 ‘하청 전문 업체’였지만 몇 해 전부터 직원 없이 운영 중이다.
○ 거인당 유태흥은 1941년에 경기도 파주시에서 출생했다. 1960년에 상경해동화백화점(현 신세계백화점) 인장부에 취업해 서울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중구 북창동과 충무로를 거쳐 1978년에 종각에서 ‘거인당’을 개업하고, 1983년에창신동으로 이전했다.
○ 유태흥은 인장업에 종사하면서 수조각 기계, 진열용 샘플 등 다양한 인장 관련제품과 기계를 고안해 인장업 발전을 이끌었다. 2008년에 대한민국 인장공예 명장으로 선정됐다./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신세계백화점 인장 코너 35년, 옥새당(玉璽堂)의 이동일 현역시절 모습
○ 옥새당은 1975년에 신세계백화점에 입점했다. 백화점의 운영 방침상 독자 상호를사용할 수 없어 2009년에 백화점 매장을 닫을 때까지 ‘신세계백화점 인장 코너’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백화점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35년 동안 운영한 유일한 인장포다.
○ 옥새당의 이동일은 1939년에 경상북도 안동에서 출생했다. 1961년에 대학진학을 위해 상경했지만, 생활비를 벌기 위해 서울에서 인장업을 시작했다.인장업계에서 이론가로 정평이 나 있는 인물로 2002년에 대한민국 인장공예명장으로 선정됐다.


□ 인장 기술의 가치를 널리 알린, 여원전인방(如原篆印房)의 최병훈
○ 여원전인방은 1977년부터 30여 년 동안 강북구청 앞 3평 공간에서 ‘삼양사’라는 상호로 운영됐다. 강북구가 도봉구, 노원구로 분구될 때마다 새로 개설한자치구 행정에 필요한 인장과 고무인을 제작했다. 2009년에 현재 위치(수유동293-3)로 이전하면서 명칭을 ‘여원전인방’으로 변경하고 인장 연구소 겸 작업실로운영하고 있다.
○ 여원전인방의 최병훈은 1950년에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출생했다. 1964년에상경해 학교와 인쇄소에서 필경사로 일했다. 1976년에 (사)한국인장업연합회에서 실시한 인장 기술 교육을 수료하고 인장업에 입문했다. 1985년에 한국인전연구회를 설립하고, (사)전통공예기능보존협회에 가입해 활동하는 등 인장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해왔다. 2001년에 대한민국 인장공예 부문1호 명장에 선정됐다.


□ 인장 기술에서 예술로, 인예랑(印藝廊)의 황보근
○ 인예랑은 1985년부터 종로구 인사동에 터를 잡은 인장포다. 인사동 쌈지길부근에 처음 자리를 잡고 인근에서 2~3번 자리를 옮겼다. 10여 년 전 건국빌딩으로 이전해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 인예랑의 황보근은 1950년에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출생했다. 1971년에 상경해스승 유태흥의 도움으로 종각에서 10년간 인장업을 했다. 1980년대부터 인장의더 높은 경지를 위해 서법(書法)의 필요성을 느끼고 서예와 전각에 몰두했다.이러한 노력으로 인장업계에서 유일하게 서예와 전각의 예술성을 인정받은 인물이다.2012년에 대한민국 인장공예 명장으로 선정됐다./서울역사박물관 제공


▶보고서는 서울 인장포의 특성으로 첫째, 도시화 과정에서 손재주 있는 지방 사람이 서울에 정착하면서 택한 업종 중에 하나라고 밝히고 있다. 6.25 전쟁이 끝나고 생계 수단을 잃은 수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모였는데 이 중 손재주가 있는 사람이 ‘사장님’이 될 수 있는 가장 쉬운 업종이 인장업이었던 것이다. 책상만 있으면 창업할 수 있는 업종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조사한 서울의 인상포 5곳 모두 1950년대 이후 상경한 지망민이 운영한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어려서부터 한자를 공부했고 손재주를 무기로 서울에 가게를 차릴 수 있었다.

“서울에서 인장포 하는 사람들은 5·16 이후에 다 지방에서 온 거예요. 그때부터 서울에 회사가 많이 생기고 일이 많았으니까요. 반도호텔 근방이 다 회사였어요. 옛날에는 관공서에서 문서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인장이 300~400종에 달했어요. 그래서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좋았죠. 인장을 다 손으로 새길 때니까 인쇄 기술자보다 인장 기술자가 훨씬 벌이가 좋았어요.” 유태흥(남, 1941년생, 거인당) 인터뷰


1960년대 인장 노점/한영수 작가/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1960년대 인장 노점/한영수 작가/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서울 인장포의 두 번째 특성으로는 유사 업종과 공간을 공유한다는 점이다. 서울의 높은 임대료를 감당하며 내 점포를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인장포는 다른 업종과 공간을 공유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다. 인장 작업에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했는 데 인장업에서는 이를 ‘겹살이’라 부른다. 특히 유사 업종인 인쇄소, 문구점 등의 한쪽 공간을 이용해 영업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심에 있는 대형 문구점이나 창신동과 인현동의 인쇄소에는 ‘인장부’가 있었다.

“1964년에 을지로5가에 있는 인쇄 가게 문 앞에 책상 하나 빌려서 독립을 했어요.”
박호영(남, 1938년생, 박인당) 인터뷰

“가게에 책상 하나씩 빌려주고 자릿세를 받았어요. 우리 집에 많을 때는 조각사가
한 5~6명 있었어요. 그래서 1970년대부터는 도장은 안 새기고 그냥 세 받으면서
재료만 취급했죠.“ 박순옥(남, 1930년생, 영광인재사) 인터뷰


추억의 도장집2019년 2월 21일. 관공서 주변이나 시장 어귀에는 한두 평 남짓의 도장집이 흔했다. 자그마한 작업대에는 도장 고정용 조각대와 낡은 조각칼 몇 개가 전부였다. 굳은살 박인 손은 작은 원 안에 이름 석 자를 순식간에 새겼다. 사진=유동현 인천이야기발전소대표/동아일보 DB

▶서울 인장포의 세 번째 특징은 도시 발전에 따라 부침을 겪었다는 점이다.
서울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30년 동안 압축성장을 했다. 1970년대 강남
개발이 본격화하기 이전 서울의 주요 시설과 기업체는 사대문 안쪽 지역에 밀집했다.
당연히 그 시기 서울의 인장포는 대표적인 상점가인 종로와 충무로 일대에 자리했다. 이후
구로공단, 여의도 개발 등 굵직한 도시 개발을 쫓아 인장포도 이동해 영업을 이어갔다.

“내가 인장 배우면서 처음 했던 곳은 다동 58번지였어요. 거기서 선생님하고 같이 일하다가 그 옆으로 옮기고, 또 옮기고 그랬죠. 또 구로공단 한일은행 바로 옆에 있다가 군대 갔다 와서 1977년에 대일사를 개업했어요. 거기서 2년 있다가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이 있는 중앙빌딩으로 옮겼죠. 1980년에 여의도 처음 갔을 때만 해도 풀밭이었어요.” 조규호(남, 1957년생, 한국인장협회 회장) 인터뷰

박인당 박호영 명장 인터뷰2019년 8월 10일/ “넓을 박(博), 박사(博士)에 쓰는 글자지요. 여기에 도장 인(印)자를 써서…. 뭐, 도장에 대해서는 좀 안다는 의미로 지은 거지요. 허허.”도장 새기는 기술로는 둘째 가라면 서러워한다는 석재 박호영 명장. 2004년 정부로부터 명장 칭호를 받았으니, 자타공인 최고인 셈입니다.박 명장은 45년째 서울 종로구 관철동 인근에서 도장을 새기고 있습니다. 한때 오르는 월세를 감당하지 못해 자리를 옮긴 적도 있지만 ‘박인당’이란 이름만큼은 지켜가고 있습니다. 이 이름의 가게를 낸 지도 벌써 40년이 넘었습니다. 칼을 처음 잡은 것으로 따져보면 60년이 더 됐습니다.“내가 여든이 넘었는데, 도장 파는 일은 열일곱 살 때부터 했어요. 예전에 돈을 좀 벌었을 때는 인쇄소, 문구점으로 사업을 확장해본 적도 있었는데 잘 안 되더라고. 다 그만두고 그냥 도장만 파고 있어요.”1·4후퇴 때 가족과 함께 고향 함경도를 떠나면서 시작한 타향살이. 이 일이면 밥은 굶지 않겠다 싶어 시작한 일입니다. 이렇게 외길. 도장 새기는 손기술이 탁월하다는 소문이 퍼져 전(前) 대통령을 비롯해 많은 명사가 그의 고객이 됐습니다. 수백만 원을 호가한다는 상아(象牙)부터 수우각(水牛角·물소 뿔), 벽조목(霹棗木·벼락 맞은 대추나무) 같은 귀한 재료들이 그의 손에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인장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은행 예금통장에도 도장 대신 사인이 들어가는 시대지만 박인당만큼은 여전히 옛 명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손으로 새긴 도장은 같은 글자라도 똑같은 모양이 하나도 없어요. 위조가 불가능하지요. 재산과 관계있는 서류에 도장을 찍어야 하는 이유예요.”간단히 설명하는 그의 표정에 연륜 못지않은 자부심이 배어 있습니다. 주성원 기자/ 동아일보 DB
1960년대 후반부터 서울에서는 현대식 고층 건물과 넓은 도로를 건설하고,
주차장과 공원을 만들어 도심을 현대화·고도화하는 ‘도심재개발’ 사업이 전개됐다.
이에 따라 도심의 저층 고밀 건물의 상가를 임차한 인장포들은 도심재개발과 함께
잦은 이전을 하며 부침을 겪었다.

1950년대 후반 서울 소동동 대영인쇄사. 한영수 작가/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지금 영풍문고 짓기 전에 그 앞에 가게들이 쭉 있었어요. 그중 하나를 보증금 50만 원에 얻었어요. 공간은 한 평도 안 됐어요. 손님 하나 들어오면 꽉 차는 가게였어요. 그렇게 1년 반쯤 했는데 빌딩 짓는다고 가게를 비워달라고 하더라고요. 보증금 50만 원에 위로비 150만 원을 받아서 구몬빌딩에 480만 원짜리 가게를 얻었어요. 거기서 한 10년 했죠. 그런데 또 빌딩 짓는다고 비워달라는 거예요.” 박호영(남, 1938년생, 박인당) 인터뷰


뿌리 깊은 일본의 도장 문화. 2021년 8월 26일/                                                                                                                                     일본인 사토 마사루(佐藤勝) 씨가 사용하는 4개 도장. 왼쪽부터 인감인 지쓰인(實印), 은행 거래용 긴코인(銀行印), 일반 사무용 미토메인(認印), 택배 수령용 간이 도장 샤치하타(シャチハタ)다. 많은 일본인이 3, 4개 도장을 용도별로 만들어 사용한다. 도쿄=박형준 특파원/ 동아일보 DB
뿌리 깊은 일본의 도장 문화. 2021년 8월 26일/ 일본인 사토 마사루(佐藤勝) 씨가 사용하는 4개 도장. 왼쪽부터 인감인 지쓰인(實印), 은행 거래용 긴코인(銀行印), 일반 사무용 미토메인(認印), 택배 수령용 간이 도장 샤치하타(シャチハタ)다. 많은 일본인이 3, 4개 도장을 용도별로 만들어 사용한다. 도쿄=박형준 특파원/ 동아일보 DB

▶ 서울역사박물관 최병구 관장은 “인장은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일부 국가의 특수한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독창성과 예술성을 지닌 수조각(手彫刻) 인장의 전승 단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인장 세공 기술과 도구를 현장 조사 방식으로 생생하게 기록해냈다는 점에서 앞으로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 서 울 의 인 장 포 』 조 사 보 고 서 는 서 울 역 사 박 물 관 누 리 집(http://museum.seoul.go.kr)에서 열람할 수 있다. 구입은 서울책방(https://store.seoul.go.kr) 또는 서울역사박물관 내 기념품점에서 가능하다. (가격 14,000원, 문의 02-739-7033).

2009년 2월 27일. 서울 동대문구 창신동 거인당 유태흥 명장 인터뷰 사진/동아일보 DB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