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마음, 첫 발자국]자폐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3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이현재 2020년 신춘문예 영화평론 당선자
이현재 2020년 신춘문예 영화평론 당선자
따지고 보면 영화관을 가는 일은 외롭고 자폐적인 일이다. 영화관에 앉는 경험은 한 영화전문 기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혼자 있는데도 더 혼자가 되고 싶다는’ 소망에 심취하는 일이다.

영화관에 들어가는 것은 기본적으로 사면이 벽으로 막힌 공간에 틈입하는 빛을 튕겨내는 하얀 벽을 보러 가는 일이다. 벽 사이로 틈입한 빛만이 영화관의 유일한 현실이며, 대개 영화관의 빛은 사진 속에 담긴 기억이라는 과거를 전달하는 매개이다. 영화관 속에서 과거는 곧 현재이며, 공간을 규율하는 절대적인 시간이다. 영화관은 현실과 차단되는 공간이며, 진공과 비워진 시간을 과거라는 환상으로 채운다. 영화관의 시간은 흐르지 않고 고여 있다. 그 때문에 영화를 보러 가는 일은 외롭고 자폐적인 일이다.

교복을 입고 영화관을 다니던 시절, 영화관은 경쟁과 계급을 향한 질주들로부터 도피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입장권에 찍힌 작은 글자가 내 자리를 보장해 주었으며, 내 자리에서 흐르지 않고 고여 있는 시간을 응시할 수 있었다. 자리에 앉으면 시간은 여유로웠다. 나는 영화에 대해 어떤 것도 건들 수 없으며, 동시에 어떠한 것도 할 필요가 없었다. 이미 결정되었다는 사실이 나의 소용을 무용하게 한다. 영화관은 오랜 시간 나에게 나를 잊을 수 있는 공간이었다. 다가오는 것들을 받아들이기만 하면 됐다.

영화관은 내가 수용할 수 없는 것들을 가르치는 공간이었으며, 입장권이라는 종이 한 장에 나를 받아주는 공간이기도 했다.

그렇지만 영화가 현실은 아니잖나. 현실의 어느 곳도 종이 한 장에 나를 쉽게 받아들여 주진 않았다. 컴퓨터 속에서 종이들이 유령처럼 떠돌고 있다. 그것은 실패이기도 하고, 후회이기도 하며, 두려움이며, 소망이었다. 영화와 다르게, 현실은 받아들이기만 한다고 수용되는 곳은 아니다. 현실에는 무엇보다 내가 있다. 현실에서는 나의 소용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을 끌고 다녀야 한다. 버리고 싶어도 버려지지 않는데 안고 끌고 다녀야 하는 것들이 있다.

현실은 영화와는 다르게 지겹도록 끝나질 않는다. 버려지지 않는 것 중에는 내가 이걸 안고 있었나 싶은 것들도 간혹 있다. 그런 것을 볼 때마다 두렵다. 논리적인 사고가 어렵다. 그럼 합리적인 판단을 기꺼이 포기한다. 기꺼이 잠시 세상의 흐름에서 나온다. 따지고 보면 영화관을 가는 일은 외롭고 자폐적인 일이다. 내가 버리고 싶어도 버려지지 않는 것을 바라본다. 그리고 다가오는 것들을 받아들인다.
 
이현재 2020년 신춘문예 영화평론 당선자
#자폐#이현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