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공은 폐쇄적 중화경제 블록”… 서울대 국제학술대회

  • 입력 2006년 11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명청시대 중국과 조선 등 동아시아 국가들은 조공을 통해 단일경제 체제를 구축했다. 조선은 중국에 사절을 보내는 대신 지배권을 보장받았다. 그림은 조선이 17세기 초 인조의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 명나라로 파견하는 사신 행렬을 그린 ‘항해조천도(航海朝天圖)’. 동아일보 자료 사진
명청시대 중국과 조선 등 동아시아 국가들은 조공을 통해 단일경제 체제를 구축했다. 조선은 중국에 사절을 보내는 대신 지배권을 보장받았다. 그림은 조선이 17세기 초 인조의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 명나라로 파견하는 사신 행렬을 그린 ‘항해조천도(航海朝天圖)’. 동아일보 자료 사진
명(明) 청(淸) 시대인 15∼19세기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였던 ‘조공(朝貢)’ 체제는 무엇일까.

3일 서울대역사연구소에서 열린 학술대회 ‘15∼19세기 유라시아 제(諸)문명권의 국제질서’에서는 동아시아 조공 체제의 성격을 놓고 토론이 벌어졌다.

조공 제도는 중국이 소수 주변국에 사절과 예물을 받고 통치권을 보장해 주는 대신 나머지 국가에 대해서는 교역과 접촉 자체를 원천 봉쇄하는 폐쇄적 ‘중화(中華) 블록’을 말한다. 이 시기 중국은 조선 안남(베트남) 등과는 조공 체제로 교역을 하는 한편 일본 인도 이슬람과는 접촉 자체를 원천 봉쇄했다.

○ “운석충돌로 조공경제 쇠퇴”

일본 릿쿄대 우에다 마코토(上田信·사학) 교수는 이 체제를 중국 주도의 ‘동아시아적 통합경제질서’로 해석했다. 우에다 교수는 “‘세계 제국’을 통해 단일 ‘세계 경제’시스템을 이끌어내려 한 게 조공”이라며 “조공 체제의 폐쇄성으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6세기 후반 민간 상인 사이에서 호시(互市) 체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호시는 일종의 자유무역체제로 한-중-일 상인들이 발전시킨 비공식 무역 루트다. 특히 중국의 조공 체제에서 이탈한 일본 상인들이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상인과 교역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호시의 대표적 항구인 안남의 호이안이나 태국의 아유타야에는 일본인 마을이나 중국인 마을이 형성됐을 정도로 무역이 번성했으며 호시의 발달은 조공 무역의 쇠퇴를 불러왔다.

우에다 교수는 “‘세계 제국’을 통해 ‘세계 경제’ 시스템을 하나로 묶으려는 시도는 결국 성공할 수 없다는 게 동아시아 조공 체제의 교훈”이라며 ‘미국 중심의 세계화’에 대해 뼈있는 지적을 하기도 했다.

서울대 국사학과 이태진 교수는 조공 경제의 쇠퇴를 불러온 호시 출현의 원인을 ‘외계충격설’로 설명했다. 외계충격설은 운석의 충돌이 기온 하강을 유발해 농업 생산량과 초원지대의 감소를 초래했다는 학설이다. 이 교수는 16∼18세기에 집중된 운석 충돌과 이로 인한 기온 하강으로 동아시아에서는 농산물과 보온성 의류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으나 제한된 물량이 오가는 조공 무역으로는 이에 대응할 수 없게 되자 호시 체제가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 국가 간 경쟁 사라져 서양에 뒤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헨드릭 스프루이트(국제정치학) 교수는 조공 체제로 동아시아가 근대 서양과의 경쟁에서 뒤처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중세 이전에 제국이 무너진 유럽에서는 국가들이 군사 경제적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면서 대포와 총포의 발달이나 신대륙 발견 등의 성과를 낳았는데, 동아시아는 중국이라는 거대 제국으로 인해 국가 간 경쟁이 없었다는 것이다.

스프루이트 교수는 “이런 분석은 서양사를 토대로 만든 유형이기 때문에 보충 연구가 필요하다”며 “동아시아는 중국이라는 제국 아래 경쟁 없는 질서가 19세기까지 지속되면서 국가 간 발전의 계기가 형성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유성운 기자 polari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