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특수’ 사라진 캠핑용품… 경기 침체-고물가에 수요 ‘뚝’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13일 03시 00분


캠핑용품 구매액 3년 연속 줄어
영업익 반토막에 적자전환 업체도
2030 이탈에 골프장 이용객 줄어
“불황에 부담 덜한 스포츠로 대체”

팬데믹 때 날개를 달았던 캠핑, 골프용품 관련 수요가 꺾였다. 경기 침체와 고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이 고가의 관련 장비 구매를 자제하고, 해외여행 재개 등에 따라 대체 활동을 찾아 나선 것으로 보인다.

12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최근 발표한 ‘2023년 기준 캠핑 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캠핑용품 구매액은 2020년 149만1000원에서 2023년 101만1000원으로 감소했다. 캠핑용품 구매액은 2021년 136만7000원, 2022년 113만4000원으로 매년 줄었다. 보고서는 “2020년 이후 캠핑용품 구매를 위한 지출 금액은 계속 감소했다”며 “특히 ‘텐트·타프’ 구매를 위한 지출이 큰 폭으로 줄었다”고 분석했다.

캠핑 이용자 수는 2021년 523만 명에서 2023년 634만 명으로 늘었지만 캠핑장 매출액은 2021년 3066억 원에서 2022년 2999억 원, 2023년 2977억 원으로 줄었다. 석영준 한국캠핑산업협회 사무총장은 “캠핑장 이용료 등 관련 비용이 코로나 이후 확 늘었다”며 “물가 인상으로 가처분 소득에는 한계가 있는데 이용료가 올라가다 보니 캠핑 가는 횟수를 줄인 이들이 많아 캠핑장 매출액이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캠핑용품 업체들의 실적도 악화됐다. 캠핑용품 업체인 코베아의 2022년 매출은 342억 원에서 2023년 207억 원으로 39.5% 감소했고, 이 기간 영업손실 16억 원, 당기순손실 26억 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캠핑용품 브랜드 콜맨을 유통하는 레알아이엔티의 매출은 2022년 126억1996만 원에서 81억4564만 원으로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7억7193만 원에서 6억3129만 원으로 줄었다.

캠핑용품 편집숍 매출과 영업이익도 반 토막 났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캠핑용품 편집숍인 캠핑트렁크의 매출액은 2021년 353억 원에서 2023년 122억 원으로, 영업이익은 19억9330만 원에서 3억8789만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그 외에 고릴라캠핑, 아토즈캠핑, 캠핑고래 등도 상황은 비슷하다.

이용자 수는 증가했으나 소비액이 감소한 캠핑 시장과 달리 골프는 이용객 자체가 줄면서 시장이 위축됐다. 경기 침체로 인한 가처분 소득 감소, 20∼30대 이용객 이탈 등으로 수요가 줄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골프장경영협회에 따르면 2023년 전국 골프장 이용객 수는 4772만 명으로 2022년 대비 5.7% 줄었다.

골프존의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6199억8138만 원, 영업이익 958억2554만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9.5%, 16.3% 감소했다. 골프용품 전문 계열사인 골프존커머스는 이 기간 매출액이 3296억 원으로 전년 대비 7.1% 줄었다. 영업이익은 24억 원으로 같은 기간 59.4%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6억 원으로 81.1% 급감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는 “불황이 이어지면서 캠핑용품은 가성비 있는 물품 구매로 수요가 옮겨갔고, 골프 대신 비용 부담이 덜한 스포츠로 대체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 특수#캠핑용품#골프용품#고물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