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발언이후 美 국채금리 상승
기관 4730억-외국인 455억 순매도
中헝다 재차 위기, 시장 불안 부추겨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2.0원 급등한 1348.5원으로 마감해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23일(1351.80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장중에는 1349.3원까지 올랐다. 올 들어 환율은 지난달 17일 1343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등락을 거듭하다 이달 들어 다시 오르는 추세다. 코스피는 기관과 외국인 매도세에 전날보다 32.79포인트(1.31%) 내린 2,462.97에 거래를 마쳐 나흘 연속 하락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4730억 원, 455억 원을 순매도해 지수를 끌어내렸다. 개인은 4976억 원 순매수했다.
이날 원화 가치와 주가 하락은 최근 연준의 긴축 기조 영향이 컸다. 앞서 20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동결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물가 상승률을 연준 목표인 2%까지 되돌리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적절하다고 판단할 경우 우리는 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해 글로벌 투자심리가 얼어붙었다.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각국 채권 금리의 기준점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25일(현지 시간) 기준 연 4.5%를 넘어섰다. 세계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10월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다. 30년물 미 국채 금리도 4.65%로 마감해 2011년 이후 가장 높았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그룹이 재차 위기를 맞은 것도 금융시장 불안에 한몫했다. 샤하이쥔(夏海鈞) 전 최고경영자(CEO)와 판다룽(潘大榮) 전 최고재무책임자(CFO)가 구속되고 신규 채권 발행이 중지되는 등 악재가 한꺼번에 터졌다. 25일 헝다는 중국에서 발행한 40억 위안(약 7338억 원)의 채권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고 공시했다. 이날 홍콩 증시에서 헝다 주가는 25% 이상 급락하며 최종 파산이 초읽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미국 경제 지표 등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136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몇 주 안에 나오는 미국 경제 지표들이 부진하면 환율이 1360원대까지 급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소설희 기자 facthee@donga.com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