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줌인]유튜브 시대의 ‘밀실 추리’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1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자백’은 밀실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된 사업가 유민호(소지섭 분·오른쪽), 그의 무죄를 입증하려는 무패 변호사 양신애(김윤진
 분·왼쪽)가 사건의 퍼즐을 맞춰 나가는 영화다. 정통 추리극 문법에 따라 밀실 살인 소재를 다룬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자백’은 밀실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된 사업가 유민호(소지섭 분·오른쪽), 그의 무죄를 입증하려는 무패 변호사 양신애(김윤진 분·왼쪽)가 사건의 퍼즐을 맞춰 나가는 영화다. 정통 추리극 문법에 따라 밀실 살인 소재를 다룬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임현석 디지털이노베이션팀 기자
임현석 디지털이노베이션팀 기자
영화계에선 한동안 정통 추리극이 드물었다.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최근엔 과학수사가 워낙 발달해서 멀쩡한 기술을 내버려 두고 왜 사람이 구태여 추리를 해야 하는지 납득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졌다.

이젠 일반 대중도 범죄가 벌어지면 일대 폐쇄회로(CC)TV와 차량 블랙박스부터 까봐야 한다는 걸 안다. 요즘 관객들은 추리극에 차량이 나오면 ‘차량사고 전문 변호사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한문철TV에 블랙박스 영상을 제보할 순 없는 걸까?’라고 생각한다. 현대 추리극은 관련 영상을 왜 구할 수 없는 상황인지 섬세하게 설정을 깔아야 한다.

즉 추리극은 이런 제약을 어떻게 돌파하는지 보는 게 재미다. 영화 ‘자백’은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의 스페인 영화 ‘인비저블 게스트’의 리메이크작으로 밀실 살인을 다룬다. 도입부에서 살인이 벌어지고 이후 줄곧 사건의 진실을 파고든다는 점에서 추리극 문법과 구성을 따른다.

영화에선 범행과 관련된 차량을 용의자가 반드시 폐기해야 할 이유가 있다는 설정을 넣었고, 밀실 살인이 벌어지는 호텔 객실 주변 CCTV 정보가 특별히 중요하지 않다는 점이 영화 막바지쯤에 드러난다.

이제 추리극은 다음 난관을 넘어야 한다. 물적 증거가 없는 상황에선 쫓는 자가 진술의 허점을 파고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대 추리극으로 올수록 캐릭터 설정이 중요하다. 사건을 좇는 자에겐 의심하며 모순을 파고들 수 있는 권위와 재능이 부여돼야 하고, 대답하는 자에겐 여기에 협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설득력 있게 제시돼야 한다. 묻는 자와 대답하는 자 간 욕망의 균형과 대립이 무너지고, 구태여 대답할 의무가 없거나 없다고 생각한다면? 긴장감은 뚝 떨어진다. 그런 걸 도어스테핑이라고 부른다.

자백은 밀실 살인 사건의 용의자 유민호(소지섭 분)와 승률 100% 변호사 양신애(김윤진 분)가 회상을 통해 사건의 진실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다룬다. 반전을 통해 묻는 자와 용의자의 욕망과 처지가 점차 명확해진다. 서로를 향해 으르렁대고 협조하는 관계 구성이 절묘하다. 영화가 두 번째 난관도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또 하나의 난관. 추리극에서의 문답 과정은 겉으로 보기엔 심심하고 지루해서 영상화가 쉽지 않다. ‘범죄도시’나 ‘다크 나이트’ 취조 장면에서 결국 피의자를 쥐어박는데, 이는 “식사는 하셨나요?”로 시작하는 문답식 취조로는 영상이 너무 단조로워지는 탓도 있다. 거의 대부분의 영화에서 취조실은 현실과 달리 사람들이 화내고 격해지는 공간으로 그려진다. 대체로 연출자들은 문답 구성만으론 영화를 채울 만한 긴장이 충분히 조성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퍼즐 기반의 추리극 연출이 그만큼 어렵다는 말도 된다.

자백에선 무패의 변호사가 살인 용의자 의뢰인을 만나 범행 과정을 함께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버전의 회상을 끌어온다. 이를 통해 단조로울 수 있는 문답 구조의 한계도 넘어선다. 여기까진 모두 원작에 있는 내용이다. 자백은 여기에 극을 끌고 가는 메인 배우들의 탁월한 드라마 연기를 통해 단순한 문답 속에서도 긴장감을 끌어올린다. 주요 배역들은 선악이 공존하는 캐릭터인데, 이들의 욕망이 더 생생하게 느껴지는 건 원작보다 자백 쪽이다.

원작과는 달리 반전이 드러나는 시점이 훨씬 앞당겨진 점은 호불호가 갈릴 만하다. 원작의 반전 구성만으론 충분치 않다고 여겼는지, 영화는 막바지에 원작엔 없는 추가적인 스릴러 장치를 배치한다. 왜 그랬는지 이해는 간다. 한문철TV에 익숙한 국내 관객들에게 누가 얼마나 잘못했는지 무슨 혐의가 적용될지 증거가 나왔는지 다 알려줘야 하니까. 그래서 끝까지 보고 나면 한문철TV 레전드 사연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여운을 남기는 것보다 명확한 결론을 내는 걸 중시하는 유튜브 시대 논리에 영화도 맞춰간달까. 극 막바지 서스펜스를 통해 갈등과 선악이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반면 추리극 특유의 우아한 여운이 너무 짧게 소비되고 증발한다.

영화는 이대로도 볼만하지만 원작처럼 두뇌 싸움만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끌고 가면 안 되는 것인지 궁금해졌다. 그럴 수 없는 한국만의 시장적 특성이 있는 걸까.


임현석 디지털이노베이션팀 기자 lhs@donga.com



#유튜브#밀실 추리#자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