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리콜 제품 382개 버젓이 국내 유통…10개 중 4개는 ‘중국산’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2월 25일 10시 38분


코멘트
발암물질이 들어간 건강식품과 질식 위험이 있는 유아용품 등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국내에서는 오픈마켓이나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버젓이 판매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중국·미국·유럽·일본 등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여부를 점검한 결과 382개 제품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382개 제품 중에서 음료와 식료품이 158개(41.4%)로 가장 많았고 아동·유아용품 51개(13.4%), 가전·전자·통신기기 44개(11.5%) 순이었다.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제품 124개 중에서 중국산 제품이 49개(38.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산 31개(24.6%), 영국산 10개(7.9%) 순으로 많았다.

한국소비자원 해외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뉴스1
한국소비자원 해외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뉴스1
리콜 사유는 음식료품의 경우 유해 물질 함유(35.4%)와 알레르기 유발 물질 미표시 등 표시사항 미흡(25.9%)이 가장 많았다. 특히 국내에서 식품 내 사용이 금지된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를 초과해 함유된 건강식품·식품보조제도 24개나 적발됐다. 에틸렌옥사이드는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암물질로 지정하고 있다. 간식류 제품도 18개는 우유, 땅콩, 밀 등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제대로 표시하지 않았다.

아동·유아용품은 작은 부품이 분리돼 영유아 질식 위험이 있어 리콜된 사례(28개·54.9%)가 절반 이상이었다. 호흡이나 접촉을 통해 몸에 흡수될 경우 생식기능 장애 등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호르몬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가 과다 검출된 장난감(3개)도 있었다.

가전·전자·통신기기는 과열·발화·화상 위험(22개·50%)으로 리콜된 경우가 많았다. 특히 내장용 배터리나 충전기 결함으로 화상·감전 위험이 있는 제품(13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들 제품 중에서 국내 수입·유통업자가 확인된 5개 제품은 환급·교환을 권고했고, 국내 수입·유통업자가 확인되지 않은 377개 제품은 제품 판매사이트의 게시물 삭제 및 판매 차단 조치했다. 하지만 일부 제품은 판매를 차단된 뒤에도 다시 유통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12월까지 판매차단한 제품에 대해 지난달 말까지 재유통 여부를 모니터링한 결과 58개 제품이 재판매되고 있는 것을 확인해 다시 판매 차단을 권고했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위험한 제품이 온라인으로 유통되거나 다시 유통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네이버, 11번가, 인터파크, G마켓, 쿠팡 등 5개 오픈마켓 사업자들과 제품안전 협약을 맺고 해외리콜 제품 판매차단 조치 등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동진 기자 shin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