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DB로 구축 안돼 활용 어려워… 중국은 고전 18만여 종 전산화 진행

‘한국고전종합DB’에 서지정보가 등록된 고전 번역 자료는 대략 6423책. 이 가운데 정부가 번역예산을 지원한 사실이 확인되는 자료는 약 2772책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약 24.1%에 해당하는 669책은 온라인DB에서 내용을 찾아볼 수 없다. 고전에서는 ‘책’이 오늘날 ‘권’과 같은 개념이며, ‘권’은 책을 내용으로 구분한 단위다.
이처럼 번역, 출판만 되고 온라인으로는 공개되지 않은 고전으로는 김시습 시문집인 ‘매월당집(梅月堂集)’,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조선후기 생활사를 보여주는 ‘이재난고(이齋亂藁)’ 등이 있다.
온라인에 공개되지 않은 고전을 번역예산 지원 주체별로 나눠 보면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번역서가 427책으로 가장 많다. 한국국학진흥원 간행 87책, 교육부 보조금 지원 74책, 한국학중앙연구원 번역 25책 등으로 나타났다.
번역된 고전을 원문과 함께 접할 수 있는 시스템은 이미 마련돼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이 운영하는 ‘한국고전종합DB’다.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뿐 아니라 ‘한국문집총간’ 등의 번역 결과물을 제공한다. 실제 온라인으로 공개된 것으로 분석된 2079책은 포털 지식백과나 한국국학진흥원의 ‘유교넷’ 등에 올라와 있는 일부 자료를 빼면 대부분 이 DB에 있다. 말 그대로 ‘종합DB’여서 고전번역원에 번역 결과물을 보내기만 하면 구축과 공개가 이뤄지는데도 실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인식이 부족하던 1990년대까지야 그렇다 쳐도 인터넷이 대중화된 2000년대 이후 번역 결과물도 온라인으로 공개되지 않는 건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번역사업 예산 지원을 신청할 때는 결과물의 DB 구축 계획을 포함시켜 놓고도 이행하지 않는 사례도 종종 있다고 한다.
학술지 ‘민족문화’ 최근호에 실린 ‘중국 고적의 개념과 규모’에 따르면 중국 고전의 규모는 대략 18만여 종으로 추산되며 약 17개의 분야별 DB를 통해 대대적으로 전산화가 이뤄지고 있다. 한국 고전적의 총 규모는 2만9252종으로 추산된다. 고전번역원 관계자는 “번역 결과물을 DB로 구축하면 공개 그 자체로도 대국민 서비스의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자동번역을 위한 코퍼스(corpus·연구를 위한 말뭉치) 구축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윤석열의 마지막 전쟁? 檢수사권 대국민 여론전 뛰어들다
윤석열 “檢수사권 폐지 막을수 있다면 職 100번이라도 걸겠다”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이언주 “文, 선거 때마다 친일 프레임…실망 넘어 분노”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