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軍 주민납치]대성동「자유의 마을」-JSA

  • 입력 1997년 10월 17일 20시 11분


행정구역상 경기 파주군에 속한다.

50여가구 2백여명의 마을 주민들은 비무장지대의 논 3만∼4만평과 밭 3천여평을 경작, 생계를 꾸려 간다. 그러나 이들에겐 토지 소유권은 없고 경작권만 있다.

주민들의 연 평균소득은 4천5백만원 정도며 가구당 평균 2대의 승용차를 갖고 있는 「부자마을」이다.

대성동의 상징물은 대형 국기게양대로 높이 1백m의 봉에 가로 18m 세로 12m의 태극기가 게양돼 있다.

국내에서 가장 높은 게양대지만 이곳에서 불과 1.8㎞ 거리에 있는 북한의 기정동마을에는 무려 1백60m 높이의 인공기 게양대가 있다.

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6.25전쟁 이전부터 이곳에 거주한 사람들이거나 그들의 직계자손으로 구성돼 있다.

마을에는 군 1개소대의 민정반이 파견돼 모든 민정업무를 관장하고 있으며 밤 11시부터는 통행금지가 실시된다.

▼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

분단의 상징인 군사분계선에 걸쳐 있으며 유엔군과 북한군이 근접경비를 서고 있다.

남북으로 4백m 동서로 8백m의 타원형 지역인 공동경비구역안에는 24개동의 건물이 들어서 있다. 군사분계선이 이들 건물을 관통하며 군사정전위 본회의실, 공동일직장교 사무실, 중립국감독위원회 사무실이 있다. 그러나 이 사무실들은 94년이후 유명무실해진 상태다.

공동경비구역 남쪽지역에는 스위스 스웨덴 등 중립국감독위 감시위원들의 숙소와 자유의 집, 평화의 집 등이 있으며 북쪽에는 판문각과 통일각, 북한의 선전마을 등이 있다.

공동경비구역은 54년11월 유엔군쪽과 공산군쪽의 합의에 따라 설치돼 양측 35명씩의 군인들이 공동경비를 해 왔다.

그러다 76년8월18일 「도끼만행 사건」이 일어난 이후 이 구역의 경비체제가 바뀌게 됐다. 충돌사건의 재발방지를 위해 이 구역의 한 가운데를 지나는 휴전선 위에 폭 30㎝ 높이 10㎝의 콘크리트경계석을 만들고 분할경비체제로 바꾼 것이다. 공동경비구역은 물론 비무장지대에 출입하는 군인 등 인원과 차량들은 일정한 표지와 함께 수적인 제한을 받고 있으며 상호 적대행위를 못하도록 돼 있다.

〈문철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