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 무조건 미루기 능사 아니다[기자의 눈/박영민]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2월 26일 21시 56분


코멘트

작은 학교 살리기가 초래한 폐교 쓰나미

사회부 광주호남취재본부 박영민
사회부 광주호남취재본부 박영민
동아일보가 전국 지방교육청에 문의한 결과 내년 문을 닫는 전국의 초중고는 모두 33곳이었다. 그런데 전북에서만 전체의 30%에 육박하는 9곳이 문을 닫는다. 광역지자체 중 가장 많다. 지난 5년 동안 전북에서 문 닫은 학교가 5곳으로 연 평균 1곳인 것과 비교하면 ‘폐교 쓰나미’로 느껴질 정도다.

갑자기 1년 사이 학생 수가 급감해서가 아니다. 전북의 초중고 학령인구는 2000년 약 33만 명에서 2010년 약 27만9000명, 2020년 약 19만6000명 등으로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문제는 ‘작은 학교 살리기’를 내세운 역대 교육감들이 학생이 한 명도 없는 학교조차 폐교하지 않고 휴교 상태로 내버려뒀다는 것이다. 내년 문을 닫는 초중고 7곳 중 3곳이 이 같은 ‘유령학교’다. 이들 학교는 학생이 전무한 상태로 1~5년 동안 학교명을 유지해 왔다. 되살아날 가능성이 없는 상황에서 이름만 유지하며 부지 활용도 못하고 마을의 흉물로 전락했다.

학생이 없어도 폐교를 안 시키는데 학생이 있는 학교를 폐교시킬 수 있을까. 학생 수 10명 미만인 작은 학교 통폐합도 그 동안 교육정책에서 뒷전에 밀린 상태였다.

그러는 동안 상황은 계속 악화됐다. 2023년 기준으로 전북 초중고 770곳 중 40%가 넘는 310곳이 재학생 60명 이하로 교육부의 통폐합 기준에 부합한다. 재학생 10명 미만인 작은 학교도 25곳이나 된다. 올해 신입생이 아예 없는 곳 23곳이다.

지난해 취임한 서거석 전북도교육감은 도시 학생들이 주소를 옮기지 않고 농어촌 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하며 작은 학교 살리기 정책 일부를 이어받았다. 하지만 동시에 조례를 개정해 폐교 절차를 단순화했다. 친구 없이 교사와 단 둘이 교실을 지키는 학생에게 사회성을 길러주기 위한 통폐합이라면 적극 추진하겠다는 자세다.

내년 문을 닫는 전북 부안군 백련초 학생이 쓴 ‘내 짝꿍’이란 시는 짧지만 지금의 교육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난 우리 반에 친구가 없다. 나 혼자밖에 없다. 그래서, 선생님이 나의 짝궁이다. 근데, 나이 차이가 너무 난다.’

취재를 하며 폐교를 무조건 미루고 또래 친구가 한 명도 없는 학교를 유지하는 게 능사는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이제라도 교육당국이 시에 담긴 작은 학교의 현실을 다시 한 번 돌아봤으면 한다. 그리고 ‘학령인구 절벽’을 외면하지 말고 정확한 진단 및 그에 따른 통폐합 또는 살리기를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박영민 기자 minpres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