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도시 착공 10년… 세종시, 제2의 도약 나선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2단계 개발 통해 자족기능 확보… 2030년 인구 80만 명품도시로 성장
스마트 미래도시화 비전도 발표

세종시 개발 이전(사진 위)과 올해 금남교 일대 항공 사진. 상전벽해란 말이 이를 두고 한 말처럼 느껴질 정도로 많은 변화가 이뤄졌다. 동아일보DB
세종시 개발 이전(사진 위)과 올해 금남교 일대 항공 사진. 상전벽해란 말이 이를 두고 한 말처럼 느껴질 정도로 많은 변화가 이뤄졌다. 동아일보DB
20일로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착공 10주년을 맞는다.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 특별자치시인 세종시가 출범한 지 5주년이기도 하다. 정부기관 이전으로 제2의 행정수도로 자리 잡은 세종시는 또 한 번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허허벌판이 ‘스마트 도시’로

정부는 2006년 12월 도시 명칭을 세종시로 결정하고 이듬해인 2007년 7월 20일 첫 삽을 떴다. 2010년 이명박 정부가 교육과학중심 기업도시로 수정하려 했지만 그해 6월 29일 국회에서 최종 부결됐다.

세종시는 2012년 7월 1일 전국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했다. 광역시에서 읍·면·동으로 곧바로 이어지는 최초의 단층제 광역단체였다. 연기군 전체와 공주시(장기면), 충북 청원군(부강면) 일부를 흡수해 면적 464.90km²를 확보했다.

그해 국무총리 비서실, 국무조정실을 시작으로 정부 부처 이전이 시작됐다. 지난해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가 옮겨옴으로써 명실상부한 제2의 행정도시가 됐다. 지난달 말 세종시 입주 공무원 수는 1만4699명에 달한다.

시는 문재인 대통령 임기 안에 행정수도 완성의 첫 그림을 구현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국토 균형 발전을 향한 문재인 정부의 의지가 확고한 데다 수도권 과밀 해소라는 국가적 목표를 현실화할 적기”라고 말했다.

○ 국가 균형 중추도시 변신 예고

시는 지난해 시작한 2단계 개발계획을 통해 자족 기능을 확보할 뿐 아니라 도시 성숙기로 접어드는 확고한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2030년까지 3단계 개발을 통해 인구 80만 명(읍·면 인구 30만 명 포함)의 ‘명품 도시’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다.

시는 정부청사가 있는 신도심과 조치원을 필두로 한 원도심으로 나눠 개발하는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원도심 재생 프로젝트인 ‘청춘조치원 사업’을 세종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추진한다. 빈집 등 주거지역을 정비하고 전통시장을 적극 활용하며 농촌지역의 청년 일자리를 늘린다는 구상이다.

신도심의 스마트 미래도시화 비전도 발표했다. 시는 13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스마트 미래 도시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최신 연구 성과를 세종시에 구현하기 위해서다.

도시행정 ‘IDX(지능형 디지털 혁신·ICT가 산업 전반에 스며들어 산업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혁신)’ 플랫폼 개발을 핵심으로 한다.

이상훈 ETRI 원장은 “ETRI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5개 IDX 추진위원회(국방·의료·행정·제조·농수산) 중 세종시가 행정IDX위원회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13일 취임한 이원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은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국가 균형 발전을 선도하는 행복도시에 대한 국민 기대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국회 분원 설치와 행정자치부 및 미래창조과학부 추가 이전 등 정부 공약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