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미래, 낙동강시대]‘2030 등록엑스포’ 부산 유치에 총력전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3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市, 유치 홍보활동 본격 돌입
올림픽-월드컵보다 경제효과 커

부산시가 지난해 12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마련한 ‘2030 부산등록엑스포 유치를 위한 제2회 국제 컨퍼런스’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부산시가 지난해 12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마련한 ‘2030 부산등록엑스포 유치를 위한 제2회 국제 컨퍼런스’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부산시가 ‘2030 부산등록엑스포’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유치에 성공하면 국내외에서 최소 5000만 명이 부산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대전(1993년)과 여수(2012년)에서 엑스포가 열렸지만 이는 특정 주제에 국한된 인정엑스포였다. 등록엑스포는 제한된 주제가 없어 참가 범위가 훨씬 넓다. 올림픽과 월드컵보다 경제적 효과가 더 큰 국제 행사다.

2030 등록엑스포는 일본 오사카(大阪), 중국 광저우(廣州)와 유치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는 로드맵을 마련하고 지난해부터 유치 행보에 나섰다. 지난해 7월에는 범시민유치위원회를 발족한 데 이어 10월에는 엑스포 서포터스 발대식 및 100만인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지난달 100만 명 서명을 받은 뒤 이달부터 유치 홍보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내외 엑스포 전문가를 초청해 제2회 국제콘퍼런스를 열었다. 당시 방한한 국제박람회기구(BIE)의 비센테 로세르탈레스 사무총장은 “부산은 산과 도시 지형이 복잡하지만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도시”라며 “산업·문화적 측면에서 엑스포 후보 도시로 손색이 없다”고 평가했다.

부산시가 산업연구원(KIET)에 의뢰한 ‘2030 부산 등록엑스포 유치 타당성 기초조사’ 결과 개최 지역으로는 강서구 맥도가 최적지로 꼽혔다. 맥도는 제2남해고속도로 지선과 국도 2호선, 김해공항, 고속철도(KTX) 구포역 등과 격자로 연결돼 접근성이 뛰어나다. 면적은 350만 m² 규모로 주제관과 전시관, 주제공원, 아쿠아리움, 레저파크 등이 들어선다. 개최 기간은 한중일 3국의 황금연휴가 포함된 5∼10월로 잡았다. 큰 주제는 ‘인간·기술·문화 미래의 합창’으로 제안했다.

입장객은 최대 5050만 명(국내 3780만 명, 외국 127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적정 입장료 5만 원을 반영하면 입장료 수입만 2조5272억 원에 달한다. 각종 시설의 사후 활용 방안은 ‘부산의 미래도시상에 부합하며 엑스포 정신을 지속시킨다’는 원칙을 적용한다. 박람회 주제 시설은 영구시설로 공공 관리하고 상징기념탑, 야외극장, 놀이시설 등 행사·이벤트 시설은 민간에 매각해 유지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국가, 국제기구, 기업, 지방자치단체 참여시설은 임시시설로 쓴 뒤 철거한 뒤 부지를 매각한다.

재원은 민간부문 투자, 기부금, 사업수입으로 조달하고 부족분은 공공부문(정부·지자체) 보조금으로 충당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두희 산업연구원 박사는 “2030 부산등록엑스포는 통일 한반도의 국가비전을 실현하는 수단이며 지역적으로는 국가 균형발전의 균형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시는 내년에 정부 승인을 받은 뒤 2021년 유치 신청을 할 계획이다. 후보지는 2023년 BIE 총회에서 169개 회원국의 투표로 결정된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엑스포는 인간의 노력으로 성취한 발전을 전시해 미래의 전망을 보여주는 행사”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치러지는 남부권 최대 국제행사인 2030 등록엑스포는 부산 발전의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
#부산의 미래#낙동강시대#등록엑스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