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 향한 길목 비대위…수도권 ‘비윤’·영남 ‘친윤’ 셈법 다르다

  • 뉴스1
  • 입력 2024년 4월 15일 16시 58분


코멘트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 등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4선 이상 국회의원 당선인 간담회에 참석 하고 있다. 2024.4.15 사진공동취재단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 등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4선 이상 국회의원 당선인 간담회에 참석 하고 있다. 2024.4.15 사진공동취재단
4·10 총선에서 패배한 국민의힘이 지도부 공백을 수습하기 위해 ‘조기 전당대회’와 ‘쇄신형 비상대책위원회’를 두고 백가쟁명식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정상적 지도부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조기 전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자칫 권력투쟁으로 비칠 수 있는 만큼 비대위를 통해 당정 간 안정을 도모하고 이후 전대를 열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15일 여권에 따르면 당내에서는 조기 전대와 쇄신형 비대위를 두고 이견이 나온다. 우선 비대위 출범은 필수적이다. 전대 준비위원회 구성 등 행정절차를 위해 당내 의결기구인 비대위가 출범해야 한다.

윤재옥 원내대표는 이날 3선 이상 중진 당선인 간담회를 마친 후 “전대를 위한 실무적인 절차를 진행하는데 비대위가 당헌·당규상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비대위 성격은 향후 여당의 지도체제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가 전대를 위한 실무적 절차를 결정하는 ‘실무형 비대위’일 경우 7월쯤 조기 전대가 열릴 예정이다. 반대로, 당 쇄신을 주도할 ‘쇄신형 비대위’가 구성되면 정기국회 이후인 연말까지 비대위 체제로 당이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조기 전대와 쇄신형 비대위를 두고 이견이 나온다. 조기 전대를 주장하는 측은 여당이 더 이상 비대위 체제로 운영돼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권성동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 정진석·한동훈 비대위 등 당은 오랜 기간 비대위로 운영됐다.

비대위는 선출이 아닌 임명직으로 구성되는 임시 지도체제다. 임기 6개월에 1차례 연장을 통해 최장 1년 동안 운영된다. 전대를 통해 선출된 지 지도부의 임기가 2년인 것과 비교하면 비대위는 불안정한 지도체제인 셈이다.

한 중진 의원은 “비대위는 야당에서 주로 운영한다. 여당은 안정적 지도체제를 구축하고 국정의 한 축으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며 조기 전대에 힘을 실었다.

당권 경쟁을 통해 국민의힘의 쇄신 의지를 국민들에게 보여줄 수 있고, 일시적인 컨벤션 효과로 당에 대한 주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도 조기 전대를 주장하는 측의 내세우는 이유다.

반면, 쇄신형 비대위를 주장하는 이들은 전대 과정에서 당권 경쟁이 심화될 경우 총선 이후 당이 또 다른 갈등으로 빠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실제 과거 전대 과정에서 당권 주자들은 서로를 향한 날선 공방을 주고받았고 당은 전대 후유증을 수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한 당선인은 “지금은 누구 탓을 하며 서로 공방을 벌일 때가 아니다. 당이 단합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며 “비대위를 통해 당 안정을 도모하고 이후 전대를 통해 새 지도부를 선출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임기가 3년 남았고, 2026년 지방선거 전까지 전국규모 선거가 없는 것도 비대위를 주장하는 이유다. 시급한 선거가 없는 상황에서 비대위를 통해 우선 당 안정을 도모한 뒤 전대를 치러야 한다는 주장이다.

조기 전대냐 쇄신형 비대위냐에 따라 당권 경쟁 구도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조기 전대 시 나경원, 안철수 등 수도권 당선자들이 유력 당권 주자로 꼽힌다. 반대로 이번 총선에서 정권심판 여론이 확인된 만큼 권성동, 권영세 등 친윤(친윤석열) 인사들의 당권 도전은 어려울 전망이다.

반면 쇄신형 비대위가 구성된다면 당정 간 소통에 능한 인사가 비대위를 맡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비대위가 연말까지 운영된다면 향후 친윤계의 당권 도전 가능성도 나온다. 실제 이번 총선을 통해 친윤계 인사 다수가 국회에 입성했다.

다만, 친윤계를 향한 비토 목소리가 높은 상황에서 비대위원장 후보군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은 비대위를 주장하는 측의 고민 지점이다.

지도체제에 대한 지역·계파 간 입장 차이도 감지된다. 수도권과 비영남권을 중심으로 조기 전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다. 조기전대 시 유력 당권주자로 꼽히는 나경원·안철수 등은 모두 비윤·수도권 인사다.

반면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높고 다수 당선자를 배출한 영남지역에서는 비대위를 통한 당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분위기다. 쇄신형 비대위를 수도권 인사가 맡을 경우 향후 친윤계 또는 영남지역에서도 당권 도전이 가능할 수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