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은 “대기업이 연초 정한 이윤을 초과하는 성과를 내면 일부를 협력업체에 제공하자”며 ‘초과이익공유제’를 추진했지만 재계는 물론이고 당시 여당이었던 한나라당 반대에도 부딪혀 무산됐다.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당시 “(이익공유제를) 도대체 경제학에서 배우지 못했다”며 “사회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자본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공산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모르겠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미국 중국 등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을 때마다 ‘무역이득공유제’를 제도화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FTA로 수혜를 보는 산업, 기업, 집단 등의 순이익 일부를 환수해 피해 산업에 지원하자는 제도다. 하지만 이중과세라는 지적과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다는 우려가 나왔을 뿐 아니라 FTA로 본 이익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농어촌 상생협력기금’ 등으로 대체됐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이기홍 칼럼]집수리 맡겼더니 기둥 다 부수려 드나
[김순덕의 도발]조율 없는 신년회견이 무슨 자랑이냐
조은산 “文 40%지지율이 성공한 대통령?…트럼프도 41%”
[e글e글]“유시민, 세상 뒤집어 놓고 사과로 퉁?” 비판 쏟아져
文대통령 지지율, 또 최저치 37%…등 돌린 20대 표심
한동훈 “유시민 1년간 거짓 선동 계속…필요한 조치 검토”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