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의 역설’ 최고치 찍은 사전투표율, 전체 투표율 견인할까

  • 뉴스1
  • 입력 2020년 4월 11일 07시 08분


코멘트
4.15총선 사전투표가 시작된 10일 오전 대구 수성구 만촌1동 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일회용 위생장갑을 낀 유권자들이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 2020.4.10/뉴스1 © News1
4.15총선 사전투표가 시작된 10일 오전 대구 수성구 만촌1동 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일회용 위생장갑을 낀 유권자들이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 2020.4.10/뉴스1 © News1
4·15 총선 사전투표 첫날인 10일 500만 명이 넘는 유권자들이 투표권을 행사해 12.14%라는 역대 최고 사전투표율이 나왔다. 이에 따라 총선 전체 투표율도 동반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받고 있다. 사전투표 2일 차인 11일은 토요일이기에 가족들과 함께 투표장을 찾는 유권자들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사전투표 첫날인 지난 10일 오후 6시 기준 현재 전국 4399만 4247명 유권자 중 533만 9786명이 사전투표를 마쳤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사전투표가 처음 시행된 이래 전국단위 선거 동시간대 기록 중 최고치이자 20대 총선보다 두 배 이상 높은 투표율이다. 총선 당일을 피한 ‘사회적 거리 두기’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사전투표 제도가 이제 널리 알려져 자리잡은 것도 배경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이틀간의 사전투표율 최종 수치는 지난 2017년 19대 대선의 최종 사전투표율인 26.06%를 상회할 전망이다. 지난 4년간 열린 세 번의 선거에서 사전투표율과 최종투표율이 정비례 양상을 보였기에 이번 총선의 전체 투표율 역시 높은 수준을 보일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선관위 관계자는 “이번 총선의 최종 사전투표율이 지난 19대 대선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총선 당일의 경우엔 투표율 추이를 장담할 수 없지만, 현재로서는 상승세를 탔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분산 투표 수요가 강했고 시행 6년째인 사전투표제가 유권자들에게 잘 안착된 효과가 합쳐진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코로나19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선 당일을 피해 사전투표로 몰린 것이라면, 총선 당일 투표율이 통상 선거보다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의 투표율 추이도 관전 포인트다. 서울의 경우 이날 최종투표율은 12.18%로 전국 평균보다 근소하게 높았지만, 인천(10.82%)과 경기(10.46%)는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부동층이 많은 지역적 특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부동층의 투표 참여가 저조할 경우 이번 선거는 거대 양당의 지지층 결집으로 당락이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각 당은 높은 사전투표율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유불리에 대해선 단정적 언급은 피했다.

이근형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은 전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사전투표율이 높아진 부분은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분산해서 투표하는 게 좋겠다는 인식 때문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전체적인 투표율은 본투표까지 합치면 지난번과 비슷한 수준이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높은 사전투표율에 따른 유불리에 대해서는 “코로나19로 어린 자녀를 둔 젊은 부부나 3대가 함께 사는 가족이 투표장에 나가는 걸 꺼리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 경우 민주당에 조금 불리하긴 하지만 여론조사상에서는 투표를 하겠다는 사람이 증가한 만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박형준 통합당 공동선대위원장은 뉴스1과 통화에서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는데 하나는 코로나19에 따른 분산, 다음은 각 당의 지지층 결집에 따른 결과”라며 “일반적으로 사전 투표율이 높으면 보수당에 불리하다는 설이 있는데 아직 이르지만 이번에는 아닌 거 같다”고 예측했다.

일각에선 과거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 등 총 네 차례의 전국단위선거에서 사전투표가 시행되면서 제도가 자리를 잡은 영향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사전투표가 처음 적용된 2014년 지방선거의 첫날 사전투표율은 4.75%였다. 그 뒤 2016년 총선(5.45%)과 2017년 대선(11.70%), 2018년 지방선거(8.77%)로 이어지며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