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바이든-날리면’ 논란 때 실은 대통령실 내부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론이 제기됐다고 한다. 경위가 어떻든 부적절한 표현에는 사과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한때 사과 문안도 검토됐지만 묵살됐다는 게 당시 대통령실 인사의 얘기다.
당시 대통령실은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OOO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윤 대통령 발언의 OOO은 “바이든이 아니고 날리면”이고 우리 국회를 향해 한 얘기라고 주장했다. 내부에서 사과론이 나온 건 설사 국회라 해도 야당에 비속어를 쓴 셈이니 잘못이라는 상식적 판단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는커녕 책임을 언론 탓으로 돌렸다.
진실 흐리고 거짓 강변하며 남 탓
윤 대통령이 사과했다면 해프닝으로 일단락됐을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잘못을 덮으려는 의도에서인지 사실과 거짓의 경계가 모호한 주장을 강변했다. 무엇이 진실인지 혼란에 빠뜨리고 문제 제기 자체가 동맹 훼손이라는 논리를 만들어 진영 대결로 몰아갔다.
전상진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는 최근 기자와 만나 윤 대통령의 ‘바이든-날리면’ 경험이 12·3 불법계엄으로 이어진 중요한 요소였을 거라고 짚었다. 자신의 일방적 주장이 사실이 되고 그에 따라 현실을 쥐락펴락할 수 있다는 일종의 ‘신적 경험’에 자신감을 얻었다는 것이다. 당시 대통령실에 있었던 인사에게 이 얘기를 전했더니 정확히 봤다며 이후 대통령이 더욱 독선적으로 변해 갔다고 했다.
공교롭게도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바이든-날리면’의 공식이 놀라운 정도로 비슷하게 반복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여러 관련자의 진술로 증명된 계엄의 실체를 교묘하게 흐리는 주장으로 사실관계를 흔들고 있다. 그러면서도 무슨 지시를 했는지는 슬며시 감춘다. 그 혼란이 다른 사람의 거짓 증언 때문이라며 자신을 피해자로 만들어 진영 간 진흙탕 싸움으로 변질시키는 식이다.
“실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달 그림자 같은 걸 쫓아가는 느낌”이라는 주장이 대표적이다. “문을 부수고서라도 들어가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복수의 진술이 있고 계엄군이 국회 본관 유리창을 깨부수고 들어간 멀쩡한 사실에도 애초 국회 해제 의결을 염두에 둔 평화적 계엄이었다는 주장으로 진실을 호도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부하 탓, 야당 공작 탓으로 책임을 돌리고 있다.
집권 내내 누적된 퇴행의 결과
즉, 윤 대통령의 지금 모습은 갑자기 불쑥 나온 게 아니라 ‘바이든-날리면’에서 시작돼 집권 내내 누적된 퇴행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의 ‘대안적 사실(alternative facts)’ 논리와도 닮았다. 언론이 백악관의 거짓말에 문제를 제기하자 백악관이 거짓말이 아니라 언론이 얘기하지 않는 대안적 사실을 말한 것뿐이라고 한 데서 탄생한 궤변 말이다.
‘바이든-날리면’ 논란은 윤 대통령 출근길 도어스테핑 중단으로 이어졌다. 당장의 잘못을 모면하려 사실관계를 뭉갠 윤 대통령은 언론 비판에 귀를 닫기 시작했다. 그로 말미암은 독선이 계엄의 토양이 됐다는 점에서 ‘바이든-날리면’ 논란은 계엄이라는 파국으로 끝난 퇴행의 시작이다. 퇴행의 끝에서 윤 대통령은 또다시 스스로 자초한 처지를 벗어나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평화적 계엄’이라는 형용모순의 거짓으로 ‘대안적 사실’을 쌓아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를 믿고 분노를 폭력으로 발산하는 극렬 지지층에 쾌재를 부를지 모른다. 하지만 그 퇴행의 대가로 우리 사회가 치러야 할 비용이 얼마나 클지는 가늠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