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눈/오코노기 마사오]변하지 않는 北, 변화하는 北

  • Array
  • 입력 2010년 10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지난달 28일 열린 북한 조선노동당 대표자회와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최후의 김정일 체제’이자 ‘최초의 김정은 체제’가 탄생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중심으로 하고 김정은 대장이 보좌하는 ‘2인3각’ 체제가 출발한 것이다. 이 기간이 오래 지속될수록 북한의 후계체제 형성은 원활하게 진행될 것이다. 장성택과 김경희 부부가 이 과정에서 후견인 역할을 맡으리라는 것은 새삼 말할 것도 없다.

김 위원장은 1980년 제6차 당 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 조직담당서기, 중앙군사위원에 임명돼 당내 제2위의 자리를 굳혔다. 1991년에는 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취임했다. 그러나 이번에 김정은은 인민군 대장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동시에 취임했다. ‘당에서 군으로’라는 수순을 차근차근 밟아가기에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왜 이제 와서 44년 만에 당 대표자회를 연 것일까. 군이 강력해져 독자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사전에 봉쇄하고, 김정은 후계체제를 확실히 다지기 위해 노동당의 ‘최고 지도기관’으로의 정상화가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인민군을 통제하는 당 중앙군사위원회가 부활해 김정은이 부위원장에 취임한 것은 매우 중요하다.

김정은과 나란히 부위원장에 취임한 이영호 총참모장은 군부의 실력자다. 이와 함께 김정각 총정치국 제1부국장, 김영철 인민무력부 정찰총국장이 중앙군사위원에 이름을 올렸다. 또 국방위원회 위원 대부분이 당 지도기관의 요직에 취임해 당과 군의 협조관계가 확보됐다. 다만 오극렬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당내 요직을 얻지 못한 것은 예상 밖이다.

이번 인사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김정일이 30세도 안 된 셋째아들 김정은을 차기 최고지도자로 지명했고 여러 보장조치를 통해 ‘3대 세습’을 강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독자적인 핵 억제력 구축, 중국에 대한 정치경제적 의존 그리고 확실한 후계체제 구축은 김정은 체제가 확립되기까지 과도기의 3대 방침이다.

김정은이 등장했다고 해서 북한의 기본정책이 바뀌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김정은이 후계자로 지명된 것은 두 형과 달리 그가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쏙 빼닮은 독재자의 자질을 갖춘 원리주의자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정책이 채택된다 해도 그것은 여전히 김정은의 정책이라기보다 김정일의 정책이다.

그렇다고 해도 ‘천안함’ 침몰사건 이래 북한의 강경정책이 앞으로 계속될 것 같지는 않다. 물론 북한대사의 유엔 연설에서 보듯 북한은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또 최태복 서기가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 측에 대표자회의 결과를 보고하고 지지를 구한 것처럼 중국 의존도 여전하다. 그러나 북한의 강경정책은 정점에 이르면 반드시 유연정책으로 전환하는 게 김일성 시대 이래의 관행이었다.

따라서 10일 노동당 창건기념일 퍼레이드에서 군사력을 과시하고 25일 중국군 참전 60주년 기념행사를 성대하게 치른 후 북한의 대외정책이 유연한 대화노선으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도발에 대한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되지만 동시에 북한과의 교섭도 준비해야 한다.

북한 지도부에 앞으로 남은 최대 과제는 2012년 ‘강성대국의 문’ 앞에서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 김 위원장의 희수를 성대하게 축하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낙오한 경제를 부흥궤도에 올려놓고 조금이라도 ‘인민생활의 향상’을 실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불가능하다면 이에 필적하는 외교적 성과, 즉 대외 관계의 대폭 개선이 필요하다. 그 어떤 경우라도 한국의 협력을 빼놓을 수 없다.

오코노기 마사오 게이오대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