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눈]연구장비 공유로 과학역량 높이자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0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미국 CNN에 따르면 기업공개(IPO)를 하지 않은 기업 중, 가장 알짜 기업은 자동차 공유서비스 회사 우버(UBER)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 기업가치 80조 원으로 미국 자동차 산업의 자존심인 제너럴모터스(GM)보다 높았다. 2위는 중국의 샤오미, 3위는 주택 공유서비스 에어비앤비(Airbnb)가 차지했다. 흥미로운 것은 1, 3위를 차지한 우버와 에어비앤비가 공유경제의 대표 기업이라는 점이다.

 공유경제 모델이 이처럼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자리하고 있다. 사실 인터넷 자체가 개방과 참여, 공유의 역사이기도 하다. 무료로 공개되어 특허료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 자바 등 각종 오픈소스 프로그램 덕분에 오늘날 인터넷은 전 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확장될 수 있었다.

 최근 과학계에도 이런 인식이 거세다. 고가의 ‘연구장비’에 대한 인식도 소유에서 공유로 바뀌고 있다. 과학기술 분야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이 보유한 첨단 연구 장비를 중소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연구개발(R&D) 주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는 것이다.

 첨단 연구 장비 구입에는 연간 1조 원 가까운 정부 예산이 투입되지만, 고가의 장비가 국책연구기관의 전유물처럼 사용돼 온 것도 사실이다. 같은 장비를 여러 기관이 구입해 각자의 실험실에 모셔두는 관행만 개선해도 한 해 수백억 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이 같은 변화를 이끌기 위해 지난해 ‘셰어(SHARE)’란 이름의 ‘연구 장비 공동활용 지원단’을 출범했다. 1년이 채 되기 전에 의미 있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출연연 25곳 중 연구 장비를 실제로 보유한 23곳이 참여해 개방 가능한 장비 목록을 제시했는데, 이전까지 47%에 머물렀던 것을 79%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연구회는 이를 바탕으로 공유 서비스를 계획 중이다. 장비의 특성과 이용자 편의를 고려해 허브 역할을 담당할 장소를 고르고, 이 공간에 연구 장비를 한데 모으기 위한 작업이다. 효율적 운영을 뒷받침할 제도 역시 마련하고 있다.

 연구 장비의 공동 활용은 R&D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뿐 아니라, 실험 데이터의 신뢰성 제고, 활용 노하우의 확산과 같은 부가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에 대학까지 동참할 경우 산학연 협력 활성화의 귀한 사례도 쏟아지리라 기대한다.

 물론 이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다. 먼저 국민 세금으로 구입한 장비를 자기 소유물로 여기는 연구자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또 정부 부처별로 산재한 장비 관련 정보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전문 인력 확충도 빼놓을 수 없다.

 단순히 투입만을 늘리는 전략은 이제 한계에 봉착했다. 우리나라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율에서 세계 1위인데도 연구생산성이 오르지 않는 이유를 다시 짚어봐야 할 때다. 문제는 투자 규모가 아니라 투자 효율성이다.

 출연연은 지난 50여 년간 국가 R&D의 토대를 마련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여왔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패러다임이 변하면서 강력한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독점 대신 공유, 폐쇄 대신 힘을 모아야 할 시점이 아닐까. 출연연 혁신을 위한 큰 그림에서 장비 공동 활용이 중요한 퍼즐 조각이 돼줄 것으로 믿는다.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이상천#연구장비#공유#과학#역량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