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석의 일상에서 철학하기]평천하·치국·제가·수신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7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용석 철학자·영산대 교수
김용석 철학자·영산대 교수
공인의 길은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훌륭한 인격과 자질을 갖춘 사람이 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 길을 올바르게 가면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고위 공직자의 언행이 문제가 되고, 나라의 중책을 맡은 분들이 가족·친척 관계에서 공사 구분 없이 처신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입니다. 한자성어를 빌리면 이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의 문제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이것은 사서삼경의 하나인 ‘대학(大學)’에서 따온 한자성어 가운데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말인 것 같습니다. 원래 뜻은 깊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많이 알려진 만큼 편협하게 해석되거나 오해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 같습니다. 통상 글자의 순서를 따라 ‘먼저 자기 자신을 닦고 집안을 가지런하게 한 다음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정한다’라고 해석합니다. 이는 자신을 수양하고 세상을 다스린다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순서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것을 단순히 ‘단계성의 개념’으로만 받아들이면 많은 것을 놓치게 됩니다. 더구나 철저하게 단계적으로 생각하면 이 말의 뜻 자체가 소멸하겠지요. 먼저 수신을 이룬 다음에 제가를 한다고 하면 말입니다. 평생토록 노력해도 수신의 완성이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초인이나 신선이 아니라면 말입니다. 제가의 완성도 마찬가지입니다. 수신이 부족한 상태에서 가정을 이루고 돌보며, 제가가 부족한 상태에서 사회에 진출하고 치국의 일에도 참여하는 것이 삶입니다.

여기서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다른 차원이 떠오릅니다. 우리는 이것을 ‘동시성의 개념’으로 보아야 합니다. 치국과 평천하의 대업을 맡은 사람도 제가와 수신의 일상적 과업을 소홀히 하면 안 됩니다. 아니 더욱 지속적으로 자신을 닦고 가정을 돌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대학’에서도 “천자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이 모두 수신, 즉 자신을 닦는 일을 근본으로 삼는다”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동시성 개념의 한 측면입니다. 또 다른 측면도 있습니다. 공동체의 구성원 각자가 자기 수양을 게을리하지 않아 지혜롭게 행동하면, 가정의 화목이 따라오고,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 수월해집니다. 그러면 세상 또한 좀 더 평화롭게 되겠지요. 동시성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수신과 평천하가 양방향으로 작동함을 알 수 있습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자꾸 단계적으로만 인식하는 데에는 또 다른 세속적 이유도 있는 것 같습니다. 어설픈 ‘제왕학’이나 ‘출세’의 관점에서 치국평천하를 인생의 목표로 삼기 때문이 아닐까 의심해 봅니다. 여기에는 크고 작은 권력에의 의지 같은 것도 개입해 있을 법합니다. 그러나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지, 권력자가 되는 일이 더 중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권력은 ‘뭔가 해낼 수 있는 힘’이지 ‘뭐든 할 수 있는 힘’이 아닙니다. 수신은 권력 행사에 분별력을 제공합니다.

평천하를 이룬 사람의 최종 목표는 오히려 ‘사람 되기’, 즉 수신일지 모릅니다. 치국평천하의 경험을 지혜롭게 자기 수양에 피드백하면 수신은 완성의 차원에 가까이 갈 수도 있겠지요. 그래서 권력의 자리에서 현명하게 행동하다 지혜롭게 물러나는 경우가 있고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시각은 종종 의식을 기만합니다. 그래서 ‘평천하·치국·제가·수신’이라고 써보았습니다. 수기치인을 위해 해야 할 일들은 나름대로의 가치와 의미를 지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 연계되어 있을 뿐 어떤 ‘큰’ 목표에 종속적으로 통합되어 있지 않습니다.

김용석 철학자·영산대 교수
#공인#수신제가치국평천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