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40대 중견무용가 3인의 ‘주목’

  • 입력 2005년 3월 15일 18시 29분


코멘트
김영희의 ‘어디만치 왔니’. 안무가 자신의 예술관 변화가 어떻게 작품을 재창조할 지가 관심거리다. 사진 제공 국립무용단
김영희의 ‘어디만치 왔니’. 안무가 자신의 예술관 변화가 어떻게 작품을 재창조할 지가 관심거리다. 사진 제공 국립무용단
지금 한국무용이 서 있는 곳은 어디인가.

현대무용, 창작무용, 극(劇)무용 세 갈래 다른 길을 걸으며 ‘지금 이 땅의 춤추기’를 탐구해 온 40대 안무가 3인의 춤이 한 무대에서 공연된다. 24∼26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오르는 ‘주(注)·목(目)-흐름을 눈여겨보다’.

춤은 국립무용단원들이 추지만 안무가 3인은 극장 ‘바깥’에서 초청됐다. 김현자 국립무용단 예술감독은 “40여 년 동안 극무용 중심의 전통을 형성해 온 국립무용단이 다양해진 현재의 한국무용 흐름을 받아들이기 위한 시도”라고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기획으로 무용계 원로 송수남 정병호 김영태 씨가 공연작을 추천했다.

첫 작품 ‘틀’의 안무가인 안성수(43·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는 춤으로 음악을 ‘묘사’하는 작품 세계를 보여 준다. “몸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감정을 얼굴 표정으로 드러내선 안 된다”는 지론에 따라 감정이 표백된 얼굴로 무용수들이 춤추는 것도 특징이다.

두 번째 공연작인 ‘어디만치 왔니’는 안무가 김영희(48·이화여대 무용학과 교수)의 과거와 현재가 어떻게 만날지가 관심거리.

1988년 치러진 ‘88 국제무용제’에서 초연된 이 작품은 당초 9명의 여성 무용수들이 격렬하게 춤췄지만 이번에는 남성 무용수 9명의 군무로 탈바꿈했다. 김영희는 1995년 대지와 물을 뜻하는 ‘무트 댄스(mut dance)’를 표방하며 이전 작품세계에서 변모한 바 있다.

세 번째 작품은 ‘신무용 대모’ 김백봉의 춤사위를 계승한 것으로 평가받는 정은혜(47·충남대 무용학과 교수)의 ‘미얄’. 봉산탈춤의 한 캐릭터인 ‘미얄’을 주인공으로 삼아 한국적 풍자와 해학을 현대적으로 해석해 낸다. 평일 오후 7시 반, 토 오후 4시. 1만∼7만 원. 02-2280-4261

정은령 기자 ry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