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베트남 찾아 中 포위망 마지막 고리 끼워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10일 22시 51분


코멘트

미국-베트남 관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격상
포괄적 동반자 관계에서 10년 만에 수준 높여
중국, 바이든 방문 前 대외연락부장 보내 회담

10일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산당 본부에서 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오른쪽)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틀간의 일정으로 베트남을 방문했다. 2023.09.10. 하노이=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0일 베트남을 국빈 방문해 양국 관계를 기존 ‘포괄적 동반자’에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시켰다. 이번 방문으로 쿼드(Quad), 오커스(AUKUS), 그리고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에 이어 인도태평양에서 중국을 포위하는 미국의 전략을 완성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베트남전쟁 종전 이후 약 50년 만에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초청을 받아 베트남을 찾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수도 하노이에서 응우옌푸쫑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하고 미국과 베트남 양국 관계를 최고 수준인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하는 데 합의했다.

이는 2013년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의 대외 관계 중 가장 낮은 수준인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한 지 10년 만이다. 이번 회담으로 두 단계를 격상시킨 것이다. 베트남의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국가는 지금까지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 등 4개국뿐이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정상회담 이후 “베트남은 친구이자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이며,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이다”고 밝혔다. 쫑 서기장은 “베트남과 남중국해의 동남아 나머지 지역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매우 높이 평가한다”고 했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국가지만 중국과 남중국해 파라셀제도 영유권 분쟁 등 갈등을 빚고 있다.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중국의 영향력에 대응하는 균형추로 삼으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다만 베트남은 공식 발표문에서 “미국이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된 국가들의 항행과 상공 비행의 자유를 계속 보장하기를 희망한다”면서도 “무력 사용이나 위협, 국제법에 반하는 행동을 취하지 말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미국으로서는 베트남을 거점으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을 공략해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그레그 폴링 동남아시아 전문가는 “이번 방문은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 같은 중국 팽창주의에 대한 대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말했다.

앞서 중국은 바이든 대통령 방문 전인 4~6일 류젠차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을 하노이에 급파해 응우옌푸쫑 서기장과 회담했다. 양측은 상호 정치적 신뢰를 공고히 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기욱기자 71woo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