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까지 몸 낮춘 교황…‘광장 바닥’서 조문 받는다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4월 22일 20시 03분


코멘트
0

생전 뜻에 따라 대성당 단상 아닌 광장에 관 놓기로
26일 장례식…좁은 장지 지정하고 비용도 미리 챙겨놔

21일(현지 시간) 바티칸의 교황 개인 경당 내 관 속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안치돼 있다. 교황청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했다. 바티칸=AP/뉴시스
21일(현지 시간) 바티칸의 교황 개인 경당 내 관 속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안치돼 있다. 교황청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했다. 바티칸=AP/뉴시스
“무덤은 땅속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마련돼야 합니다.”

21일(현지 시간) 88세로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단지 ‘프란치스코’라는 이름만 (무덤에) 남겨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교황청이 이날 밝혔다. 또 교황은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바티칸 외부의 “로마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로마 성모 마리아 대성당)에 묻어달라”고도 했다. 평소 청빈한 삶을 살아온 교황이 조용하고 검소한 장례를 강조하며 마지막까지도 낮은 자세로 임한 것이다. 남기고 싶은 말이 많았을 법하지만 유언은 12개 문장으로 끝났다.

21일(현지 시간) 바티칸의 교황 개인 경당 내 관 속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안치돼 있다. 교황청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했다. 바티칸=AP/뉴시스
21일(현지 시간) 바티칸의 교황 개인 경당 내 관 속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안치돼 있다. 교황청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했다. 바티칸=AP/뉴시스
교황은 2022년 6월 29일 생전 거주지인 산타 마르타의 집에서 작성한 유언에서 “지상에서의 삶의 황혼이 다가옴을 느끼며 영원한 삶에 대한 확고한 희망을 갖고, 매장 장소에 대한 제 마지막 소원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매장지를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으로 택한 데 대해 “평생 사제와 주교로 사목하는 동안 우리 주님의 어머니이신 복되신 성모 마리아께 제 자신을 맡겨왔다. 마지막 지상 여정이 이 고대의 마리아 성지에서 끝나길 바란다”고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 재임 동안에만 100차례 이상 이 성당을 방문할 만큼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었다.

교황은 첨부된 도면을 언급하며 “바오로 경당과 스포르차 경당 사이의 측면 통로에 있는 틈새에 매장을 준비해 주시길 요청한다”며 세부 장소까지 지정했다. 또 “무덤 조성에 드는 비용은 한 후원자가 제공한 금액으로 충당한다”며 장례비도 직접 챙겼다.

마지막은 “제 인생 마지막을 장식한 고통을 세상의 평화와 민족 간의 형제애를 위해 주님께 바친다”는 기도로 맺었다.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벌어지는 전쟁의 종식과 평화를 하느님께 빈 것이다. 교황청은 교황의 장례 미사가 26일 오전 10시(한국 시간 오후 5시) 성 베드로 광장에서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단 단장이 집전하는 가운데 열린다고 22일 밝혔다.

“권력 멀리한 교황의 낮은 자세 그리워” 슬픔에 잠긴 바티칸
22일(현지 시간) 필리핀 마닐라의 마닐라 대성당에서 가톨릭 신자들이 고(故) 프란치스코 교황의 초상 앞에 촛불을 밝히고 있다. 필리핀은 전체 인구의 약 80%가 로마 가톨릭 신자로,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가톨릭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마닐라=AP/뉴시스
22일(현지 시간) 필리핀 마닐라의 마닐라 대성당에서 가톨릭 신자들이 고(故) 프란치스코 교황의 초상 앞에 촛불을 밝히고 있다. 필리핀은 전체 인구의 약 80%가 로마 가톨릭 신자로,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가톨릭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마닐라=AP/뉴시스
“교황은 ‘보통 사람’이었습니다. 특별하지 않은 옷을 입은 채 거리로 나가 사람들에게 다가가셨죠.”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한 21일(현지 시간) 늦은 밤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만난 백발의 호주인 앤서니 보노모 씨는 생전 소탈했던 교황을 떠올리며 눈시울을 붉혔다. 교황의 선종 소식을 듣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급히 기차를 타고 온 페르낭도 모랄레스 드라크루즈 씨는 “교황은 ‘왕처럼 사는 다른 국가 원수들’ 같지 않았다. 고급 저택에서 손님임을 자처한 어른이었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세계 곳곳에서 광장으로 모여든 신자와 순례자들은 “권력과 권위를 멀리한 교황의 낮은 자세가 그립다”고 입을 모았다. 군림하는 정치 지도자들과 달리 군중 속으로 들어가 소리 없이 진정성 있는 선행을 실천했다는 것. 사람들은 낮은 곳으로 임했던 교황의 뜻을 받들려는 듯 자정이 되도록 기도하고 명상하며 고요한 애도를 이어갔다. 22일 낮에도 성 베드로 광장에는 엄숙한 표정으로 기도를 하는 신자들로 붐볐다.

● “목자 없는 양처럼 멍하니 선 기분”

22일(현지 시간) 필리핀 마닐라의 마닐라 대성당에서 한 남성이 고(故) 프란치스코 교황의 초상 앞에서 촛불을 밝히고 있다. 마닐라=AP/뉴시스
22일(현지 시간) 필리핀 마닐라의 마닐라 대성당에서 한 남성이 고(故) 프란치스코 교황의 초상 앞에서 촛불을 밝히고 있다. 마닐라=AP/뉴시스
바티칸에서 만난 가톨릭 신자들은 교황과의 갑작스러운 이별에 황망함을 감추지 못했다. 전날인 20일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부활절 미사에서도 고인이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모니카 씨는 “어제 부활절 미사 때 교황을 뵙고 ‘내가 정말 운이 좋다’며 기뻐했는데 갑자기 이렇게 가실 줄 몰랐다”며 “너무 슬프다”고 했다.

교황청에 따르면 교황은 21일 오전 7시 35분 바티칸 자택에서 뇌졸중과 그에 따른 심부전으로 선종했다. 고인은 다발성 기관지 확장증, 동맥 고혈압, 제2형 당뇨병도 앓고 있었다. 교황은 육체적 고통 속에서도 마지막 순간까지 미사에 참여하며 가급적 많은 이들과 함께했던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의 혼란 속에서 교황이 꾸준히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게 심적으로 큰 안정감을 줬다는 평가도 나왔다. 호주인 톰 씨는 “세계가 불안에 시달리는 와중에 교황은 안정을 주고 위안이 됐다”며 “부디 차기 교황도 우리에게 평안을 주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저녁 바티칸 성 요한 라테라노 대성당에선 교황을 추모하는 미사가 열렸다. 바티칸 당국이 운영하는 매체인 바티칸뉴스에 따르면 미사를 주재한 로마 교구의 총대리 발도 레이나 추기경은 “오늘 저녁 우리 교구는 마리아 막달레나의 눈물을 흘린다. 우리는 목자 없는 양처럼 멍하니 서 있는 기분”이라고 했다.

● 장식 없는 소박한 관에 눕다

교황청은 21일 오후 8시 교황이 머물던 바티칸 산타 마르타의 집에서 1시간에 걸쳐 입관식을 거행했다. 교황의 사망을 확인하고, 그를 관에 안치했다. 입관식에는 교황 주변에서 활동했던 사제들과 가족들이 참석했다.

이와 함께 교황의 사인과 유언을 공개했다. 교황의 비서 역할을 하는 궁내원장은 교황의 상징물 중 하나인 ‘어부의 반지’를 파기했다. 다음 교황에게는 새 반지가 주어진다.

장례 절차는 생전 교황의 뜻에 따라 소박하게 진행되고 있다. 교황청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간소화된 장례 규칙에 따라 교황은 전임 교황들처럼 편백나무, 납, 참나무로 된 3중관이 아닌 장식 없는 목관에서 영면에 들 예정이다.

이날 교황청은 산타 마르타의 집 대문에 빨간 리본을 달아 묶고, 밀랍 도장을 찍어 봉인했다. 이는 교황 애도 기간의 시작을 상징하는 절차다. 교황청은 이르면 23일 오전 교황의 시신을 성 베드로 대성당으로 옮겨 일반인 조문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조문 풍경도 소박하게 바뀔 전망이다. 이전엔 교황의 시신이 대성당 내부에 설치된 허리 높이의 단상 ‘카타팔케’ 위에 안치됐다. 하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생전 뜻에 따라 성 베드로 광장 바닥에 관이 놓여진 상태에서 조문을 받을 예정이다. 그는 2020년 코로나19 확산 당시 텅빈 이 광장을 바라보며 특별 강복으로 위로를 건넸는데, 같은 자리에서 신자들과 마지막 인사를 나누게 되는 것이다. 장례식은 26일 열리고, 새 교황 선출을 위한 추기경들의 모임인 콘클라베는 교황 선종 2, 3주 뒤인 다음달 중순경 열릴 것으로 보인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