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에 뒤집힌 트럼프 관세… “멕시코-캐나다산 車 한달간 면제”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7일 03시 00분


[몰아치는 트럼프 스톰]
美업계 “피해 우려”에 예외 수용
中-加-멕시코 잇단 보복 움직임에… 비료-농산물 일부도 면제 고려
WSJ “롤러코스터 관세, 투자 위축”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지 하루 만인 5일(현지 시간) 두 국가에서 수입하는 자동차 및 관련 부품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하기로 했다. 미국 자동차 업계가 생산비용 증가 등의 피해가 예상된다며 관세 부과 예외를 강하게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캐나다와 멕시코 역시 보복 관세 부과 등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관세 면제가 필요한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의견을 듣는 데 열려 있다”고 밝혀 농산물 등에 대한 추가 면제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 트럼프, 면제 하루 전 빅3 자동차 CEO들과 통화

이날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우리는 (미국의) 빅3 자동차 업체와 대화했다”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업계의 요청에 따라 그들이 경제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4일 포드의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 및 빌 포드 회장,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CEO, 존 엘칸 스텔란티스 회장과 잇달아 통화했다. 이 과정에서 자동차 기업 CEO들은 관세 부과로 인한 자동차 업계의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분석에 따르면 캐나다와 멕시코에 그대로 관세가 적용될 경우 미국에서 판매되는 승용차와 픽업트럭의 가격은 최소 3000달러(약 432만 원)에서 많게는 1만 달러(약 1442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 로이터통신은 “특히 미국에서 인기가 많은 픽업트럭의 경우 전체 소비량의 3분의 1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된다”고 전했다.

● 加 외교 “사이코 드라마 30일마다 겪을 순 없어”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비료와 농산물 품목에 대해서도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된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 농업은 자동차 산업과 더불어 고율 관세 부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대표적인 분야다.

미국 농산물 수출의 17%를 차지해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최근 관세 부과에 맞서 미국산 농산물에 보복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캐나다와 멕시코도 보복 조치를 준비 중인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2일부터 수입 농산물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혀 미국 농업계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현재 약 1200만 t의 미국산 농산물에 계약 취소 위험이 있다. 미국산 옥수수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멕시코가 수입 취소에 나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4일부터 1550억 캐나다달러(약 156조 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한 캐나다는 미국이 관세 부과를 전면 해제하지 않는 이상 보복 조치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AP통신이 전했다.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장관은 “이런 ‘사이코 드라마’를 30일마다 겪을 순 없다”며 분명한 대응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또 캐나다에선 미국산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도 이어지고 있다. 멕시코도 9일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세부 대응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일각에선 공화당 지지 성향이 강한 미국 농업 주(州)들을 지역구로 둔 미 정치인들의 우려와 면세 요구도 향후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WSJ는 이날 사설을 통해 “트럼프의 관세는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절대 알 수 없는 롤러코스터”라며 “매 순간 긴장감을 주는 관세 폭격이 경제 불확실성과 투자 둔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USMCA#트럼프 대통령#관세 면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