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청각-뇌 손상 유발할수도”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2월 19일 11시 17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이 청각과 뇌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7일(현지시각) BBC는 “최근 청각 이상을 호소하는 젊은 사람들이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이어폰에 내장된 주요 기능인 ‘노이즈 캔슬링’을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고 보도했다.

BBC는 ‘청각 정보 처리 장애(APD)’ 진단을 받은 25세 A 씨를 소개했다.

청각 정보 처리 장애는 정상 청력임에도 불구하고 말소리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귀로 들어온 청각신호가 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소리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청력 손실과 달리 뇌에 문제가 발생하면 겪는 증상이 나타난다. 주변 소음 속에서는 더욱 언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중추 청각정보처리장애(CAPD)라고도 불린다.

BBC에 따르면 A 씨는 대학 강의를 직접 참석하지 못했다. A 씨는 온라인을 통해 자막을 보며 강의를 들었다. A 씨는 “직접 강의를 듣고자 했을 때는 모든 말이 횡설수설처럼 들렸다”고 말했다. 타이핑하거나 작게 속삭이는 소리 등 교실에서 들을 수 있는 소음 때문에 강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다.

A 씨는 하루에 5시간 이상 노이즈 캔슬링이 탑재된 무선 이어폰을 사용했다. 전문가들은 노이즈 캔슬링이 A 씨의 뇌에 영향을 줬다고 주장했다.

영국 청각학회의 클레어 벤튼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노이즈 캔슬링으로 인해 뇌가 자동차 경적 소리와 같은 일상적인 소리를 잊어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10대 후반이 돼야 뇌는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청취 기술을 완성한다”며 어린 나이부터 노이즈 캔슬링을 통해 일상 소음이 없는 환경에 있다면, 말과 소음을 처리하는 능력의 발달이 늦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헤드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배경 소음이 들리는 ‘투명성 모드’를 사용하고, 귀를 완전히 막지 않는 헤드폰을 착용할 것을 제안했다.

#영국#노이즈캔슬링#청각
  • 좋아요
    5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 2025-02-20 02:23:45

    누군가 주장한 내용이 영국 비비씨에서 보도된 적이 있고 컨펌된건 아직 아무것도 없다, 그뿐이다. 누구랑 싸우고 담가버릴 목적으로 나오는 기사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제조회사가 바보도 아니고 그정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그렇게 쉽게 시장에 내놨겠나, 저게 사실이라면 정말 회사가 위험해지는건데. 뇌송송구멍탁내지 성주사드 전자파튀김 정도의 기사가 아닐지 싶다.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5
  • 슬퍼요
    1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