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석탄-LNG에 15% 보복관세 시작… 獨-佛도 “적극 대응”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2월 11일 03시 00분


中, 원유-농기계 등 10% 추가 관세
美와 통상전쟁 2라운드 본격화
유럽 기업은 미국내 생산 확대 검토

중국이 미국의 10% 추가 보편 관세 부과에 맞서 10∼1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10일 정식 발효했다.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원유 농기계 대형자동차 등에 10%의 관세가 각각 추가로 부과된다. 양국이 관세 때리기를 주고받으면서 도널드 트럼프 1기에 이어 미중 간 2차 통상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직 정식 관세 부과가 발표되진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수차례 관세 부과 의지를 보인 유럽연합(EU)도 비상이 걸렸다. 이에 대해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적극 대응할 방침을 시사했다. 하지만 EU에 기반을 둔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확대를 검토하는 등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 中, ‘맞불 보복 관세’와 美 기업 대상 반독점법 위반 조사 검토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4일 대미(對美) 보복 관세 조치를 발표하며 시행 시기를 엿새 뒤인 10일로 정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통화가 곧 성사돼 협상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이날까지 두 정상 간 통화는 없었고, 실무 협상에도 진전이 없어 중국의 보복 관세가 예정대로 시행됐다.

이에 대해 중국이 캐나다, 멕시코와 달리 ‘선(先) 관세, 후(後) 협상’의 트럼프식 압박 전략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쫓기듯 협상 테이블에 나오기보다는 맞대응을 통해 시간을 벌면서 대응 방안을 마련 중이라는 것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대통령이 펜타닐 차단 외에 틱톡 지분을 미국 기업에 넘기는 방안 등 여러 요구를 쏟아내 미중 간 관세 논의가 교착 상태에 빠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다만, 아직까지는 양국 간 협상 여지가 남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공약대로 최대 6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수년째 경기 침체로 내수가 위축돼 수출로 버티고 있는 중국 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웨카이증권은 미국의 대중 관세율이 10%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0.3%포인트 낮아지며, 관세율이 60%로 올라가면 GDP 증가율이 1.4%포인트 떨어질 거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중국산 수입품에 20%의 관세가 부과되면 중국의 GDP 증가율이 0.7%포인트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이 맞불 관세 외에 무역 보복의 도구로 이용할 만한 미국 기업 목록을 작성하고 있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도 9일 나왔다.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이미 반독점법 위반 조사를 시작한 엔비디아와 구글 외에도 애플, 브로드컴, 시놉시스도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 유럽 기업들, 美 생산 확대 검토

숄츠 총리는 전날 총선 TV토론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한 EU 차원의 대책과 관련해 “우리는 1시간 안에 조치할 수 있다”며 강경한 대응 의지를 나타냈다. 마크롱 대통령도 CNN 인터뷰에서 “EU는 우리 자신을 위해 미국의 움직임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FT는 유럽에 거점을 둔 글로벌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9일 보도했다. 독일 에너지 기업인 RWE의 마르쿠스 크레버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의 관세 위협 탓에 미국 내 풍력 및 태양광 발전 투자가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발전 시설을 지을 때 배터리 등 중간재를 미국으로 수입해야 하는데 고관세가 부과될 수 있어서다. 짐 로언 볼보 CEO는 “미국이 EU에 요구하는 관세율이 2.5∼10% 수준을 넘어서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공장의 생산량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했다.

명품업체 루이뷔통모에에네시(LVMH)와 석유회사 셸 등도 미국 내 생산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미국#중국#유럽#보복 관세#통상 전쟁#트럼프#반독점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