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中제재에도… 화웨이 5G폰으로 기술력 과시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유럽서 돌파구 찾는 中]
美 상무장관 방중 기간에 공개
中서 제조한 7나노 칩 탑재 추정
WP “美제재, 되레 中기술개발 불러”

중국 선전에 위치한 화웨이 플래그십 스토어 전경. 2023.5.18. 뉴스1

중국 선전에 위치한 화웨이 플래그십 스토어 전경. 2023.5.18. 뉴스1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새 스마트폰을 둘러싼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화웨이가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의 지난달 말 방중 기간 중 보란 듯이 공개한 이 스마트폰에 ‘5세대(5G)’ 통신 첨단 반도체가 탑재됐는지, 탑재됐다면 이를 어디에서 조달했는지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실제로 탑재됐다면 거듭된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에도 중국의 첨단 반도체 자립이 가까워졌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2일(현지 시간) 화웨이 5G 휴대전화와 관련해 “미국의 제재가 중국의 기술 개발 노력을 오히려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 또한 “화웨이의 미스터리 폰을 테스트해 보니 최신 아이폰에 가까운 통신 속도를 보여 5G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중국 반도체의 이정표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화웨이는 지난달 29일 자사 온라인몰을 통해 신제품 ‘메이트 60’ 한정수량 판매를 시작했다. 구체적인 사양은 밝히지 않았지만 ‘역대 가장 강력한 메이트 모델’이라며 5G폰을 시사했다. 미국 애플의 ‘아이폰 15’가 공개되는 12일을 겨냥해 이달 중순경 공개 행사도 열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선 이번 화웨이 폰에 중국 파운드리 업체 SMIC가 제조한 7nm(나노미터)급 기린 90000이 탑재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7나노 칩은 아이폰의 2018년 기술 수준까지 따라온 것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화웨이는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행정부의 제재로 5G 칩을 구매할 길이 막혔다. 이로 인해 2020년 이후 5G폰을 만들지 못했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화웨이 5g폰#中기술개발 불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