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거주 탈북 여성이 아들에게…프랑스어 책 출간 화제 [동정민의 파리이야기]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5월 14일 17시 07분


코멘트
“엄마 왜 저를 버렸어요?” “엄만 널 버리지 않았단다.”

이날 프랑스 파리 8구에서 열린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플뢰르 펠르랭 전 문화부 장관(가운데)과 함께 사진을 찍은 두 저자. 왼쪽이 탈북한 박지현 씨, 오른쪽이 한국 출신 세린 씨.
이날 프랑스 파리 8구에서 열린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플뢰르 펠르랭 전 문화부 장관(가운데)과 함께 사진을 찍은 두 저자. 왼쪽이 탈북한 박지현 씨, 오른쪽이 한국 출신 세린 씨.
“국가는 서로 달라도 인간애의 보편적인 메시지를 담은 이 책의 프랑스 출간은 큰 의미가 있으며 프랑스 사람들도 큰 감동을 받을 것이다.”

13일 오후 프랑스 파리 8구의 한 살롱. ‘두 한국여성(Deux cor¤ennes)’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플뢰르 펠르랭 전 프랑스 문화부 장관은 기자와 만나 “이 책을 잃고 너무 큰 충격과 감동에 사로잡혔다”며 “그동안 북한의 독재와 기아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고 북한을 다녀온 프랑스 사람들이 보여준 사진도 봤지만 그건 사실상 이론적인 것이었고 북한 사람과 인간적인 교감을 느끼게 해 준 이 책은 완전히 다른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영국에 정착한 탈북자 박지현 씨의 굴곡진 인생을 역시 영국에 살고 있는 남한 출신 작가 세린 씨가 인터뷰해서 프랑스어로 쓴 책은 유럽 곳곳에 출간됐으며 영어판도 준비 중이다. 13일 프랑스어판 출간을 맞아 라디오 ‘프랑스 24’에서 박 씨를 인터뷰했다.

박 씨는 1998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탈북한 뒤 중국에서 노예로 팔려갔다가 공안에 잡혀 북한 노동 교화소로 끌려간 후 다시 탈북에 성공했다. 세린 씨는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 불어권에서 학창시절을 보내고 프랑스 소르본4대학을 졸업했다. 한국 입양아 출신인 펠르랭 전 장관은 “북한 여성을 실제로 만나본 건 처음”이라며 “이런 자리에 참석하는 게 낯설지만 한 번 직접 만나고 싶어서 호기심에 초대에 응했다”며 박 씨와 반갑게 인사했다.

프랑스에 출간된 ‘두 한국여성(Deux cor¤ennes)’ 표지
프랑스에 출간된 ‘두 한국여성(Deux cor¤ennes)’ 표지

책은 “왜 나를 버렸나요?”라고 묻는 박 씨의 아들 철이의 질문으로 시작한다. 아들은 영국에 정착한 지 4년 뒤인 2012년 박 씨가 거주하고 있는 영국 맨체스터의 한 벤치에서 조심스럽게 “엄마 이거 하나만 물어보고 이제 답을 들으면 머리에서 다 지울게요”라며 입을 뗐다. 그는 “엄마가 가고 난 후 주변 사람들이 ‘너희 엄마가 너를 버렸다’고 말했는데 진짜 숫자 백을 세고 나도 엄마가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씨는 기자에게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 아들이 이 질문을 했을 당시 그저 울기만 하고 답을 못했다”며 “이 책은 정치적인 책이 아니라 아들에게 ‘나는 너를 버리지 않았고 너를 사랑한다’는 답”이라고 설명했다. 둘은 왜 헤어졌고 어떻게 지금 영국에 함께 있는 것일까.

삼촌이 자신의 눈앞에서 “배고프다”를 외치며 아사로 죽는 모습을 본 박 씨는 아버지의 권유로 1998년 2월 탈북을 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5000위안(약 85만 원)에 46살 중국 남성에게 팔려갔다. 도박과 폭력을 일삼는 중국 남편과 가족들 틈에서 국적과 이름도 잃은 채 살던 박 씨는 중국에서 낳은 아들 철이만 바라보고 살았다. 철이가 다섯 살 되던 해 박 씨는 한밤중에 중국 공안에게 끌려가 북송됐다. 당시 박 씨는 “엄마 돌아올게”라는 말도 남기지 못하고 생이별을 해야 했다. 북한 노동 교화소로 끌려가 갖은 고초를 겪은 박 씨는 아들을 찾겠다는 일념으로 다시 탈북해 인신매매를 자청한 뒤 2005년 철이를 찾았다. 이후 함께 몽골 사막을 거쳐 2008년 난민이 인정돼 영국에 망명해 살고 있다.

박 씨에게 아들의 질문은 평범한 삶을 계획했던 그가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는 “나만 아픈지 알았는데 나 말고도 아픈 사람이 많다는 생각이 문득 들게 됐다”며 “아들이 그 질문을 해 줘서 고맙다”고 말했다. 이제 철이는 어엿한 영국 칼리지 대학생이 됐다.
두 저자가 기자와 인터뷰 후 찍은 사진
두 저자가 기자와 인터뷰 후 찍은 사진

책은 남한과 북한 여성이 자신의 추억을 나누면서 공통점을 찾는 과정이기도 하다. 세린 씨는 “2014년 지현 씨를 앰네스티 통역으로 처음 만났을 때는 북한 사람을 만난다는 막연한 공포와 무서움이 컸다. 하지만 대화를 나누다 보니 어린시절 할머니에 대한 추억, 형제와 가족에 대한 애착, 부모에 대한 공경 등 너무나 비슷한 대목이 많았다”며 “남과 북의 간극을 좁히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씨는 “사실 북한 생활하면 증오와 분노만 생각났는데 이번 책을 쓰면서 아름다운 어린시절 추억도 떠오르고 나의 새로운 행복한 어린 시절을 기억해 낼 수 있었다”고 즐거워했다.

이어 “북한 사람도 사람이라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며 “북한 주민들은 배고프고 불쌍한 정치적 꼭두각시가 아니라 하루를 살아가기 위해 매일 싸우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독자가 리뷰에 쓴 ‘아픔을 보여준 책인데 초라해 보이지 않는다’는 평을 읽고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며 “북한 사람이 초라하게만 그려지는 게 싫다”고 전했다.

박 씨가 이날 기념회에 참석한 프랑스 청중들의 여러 질문에 답하고 있다.
박 씨가 이날 기념회에 참석한 프랑스 청중들의 여러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날 출판기념회에는 프랑스 기자와 출판업 종사자 40여 명이 참석했다. 북한 여성을 처음 만나본 프랑스 참석자들은 각종 궁금증을 쏟아냈다.

한 프랑스 남성은 “한국과 북한 정부는 상대에 대해 어떻게 말하나”고 묻자 박 씨는 “북한 사람들은 한국 사람을 적으로 알고 있다”며 “지난해 북한에서 출판된 아동도서에는 아직도 북한이 못사는 한국에 의약품과 음식을 보내고 있다고 쓰여 있다”고 말했다. 이 대목에서 참석자들 사이에서 웃음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자유국가 영국에 와서 가장 좋은 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가족”이라고 답했다. 박 씨는 “북한은 김씨 일가를 아버지, 조선노동당을 어머니라고 가르치며 진짜 가족애를 맘껏 느끼지 못하게 한다”며 “영국에 와서 가족과 함께 같은 소파에 앉아서 함께 저녁 먹고 웃으며 대화하는 것 자체가 가장 좋은 점”이라고 말했다. 박 씨의 책에는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왜 김일성 수령님을 당신보다 더 많이 사랑해야 하나요? 내 진짜 아빠는 당신 아닌가요”라고 물었던 에피소드도 들어있다. 당시 아버지는 “조용해라. 이웃이 들을 수 있으니. 나도 네가 이상하게 생각할 걸 알지만 네가 더 크면 이해할 것이다. 너는 학교생활만 열심히 하면 된다”고 답했다고 적혀 있다.

박 씨는 “영국에 처음 왔을 때 가장 놀란 건 무엇이냐”는 한 여성 기자의 질문에 “런던 히드로 공항에 처음 내렸을 때 공항 가판대에 신문이 이렇게 많다는데 놀랐고 대통령 얼굴이 1면에 많지 않아서 놀랐다”고 답했다.

파리=동정민 특파원 ditt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