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옐런 금리정책 충돌… 불확실성 커진 글로벌경제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2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美 금리인상 폭풍]경기부양 놓고 180도 다른 처방

 “현 시점에서 완전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재정 정책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70)은 올해 마지막으로 열린 14일(현지 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전임자들(전 연준 의장들)과 나는 실업률이 지금보다 상당히 높았을 때 재정 촉진책을 촉구했다. 지금은 실업률이 4.6%이고 노동시장도 견고하다. 고용시장이 다소 부진한 측면이 있지만 점차 줄어들고 있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고용 창출을 위해 대규모 재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뉴요커 출신 동갑내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70)과 전혀 다른 처방을 밝힌 것이다. 옐런은 대선 기간 내내 자신을 비판한 트럼프를 강하게 반격할 것이라는 예측도 저버리지 않았다.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미국 경제를 놓고 트럼프와 옐런의 본격적인 충돌이 시작됐다”라고 보도했다.

○ 트럼프의 재정 정책 vs 옐런의 금융 정책 대결

 블룸버그통신은 “연준이 시장 예상과 달리 내년 금리 인상 횟수를 기존 2회에서 3회로 늘린 것 자체가 트럼프의 재정 부양에 따른 경기 과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옐런 의장도 이날 “일부 위원이 재정 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금리 인상 전망치 변화에) 다소 반영했다”라고 말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 옐런이 내년에 가파른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추구하는 수출 강국 목표에 방해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FT는 “트럼프의 주 목적은 미국 제조업을 부활시키고 통상 우위를 지켜내는 것이지만 달러화 강세는 외국 정부들이 미국산 제품에 보호관세를 매기는 효과를 부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옐런은 트럼프가 당선되자마자 금융 규제 폐지를 공언한 것도 비판했다. 그는 “우리는 경제에 엄청난 피해를 준 금융위기를 겪었고 이를 계기로 대부분 연방의원과 대중이 더 안전하고 강한 금융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라며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금융 규제법인) 도드-프랭크법은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다. 금융 규제들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옐런의 날선 발언이 트럼프에 대한 반격인 것은 분명하다. 트럼프는 대선 기간 특유의 거친 표현으로 옐런의 저금리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5월 CNBC방송 인터뷰에서 “옐런 의장이 유능한 사람이지만 공화당 지지자가 아닌 만큼 임기가 끝나면 교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9월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임명한 옐런 의장이 (임기 끝까지) 주식시장을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낮게 유지하고 올려도 찔끔찔끔 올리려 한다. 옐런은 스스로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 트럼프 정책 구체화 될때까지 관망세 전망

 월가 대형 투자은행들은 이날 FOMC 회의 결과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재정 정책뿐만 아니라 관세 인상 등 보호무역 정책을 본격적으로 실시할 경우 경기 위축이 예상되는 만큼 내년 3차례 금리 인상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가능성도 있다”라고 전망했다. JP모건, 씨티그룹 등 대부분의 투자은행은 ‘내년 금리 2회 인상’이란 기존의 전망을 유지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는 ‘1회 인상 전망’을 고수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트럼프의 3대 경제 공약인 감세 및 인프라 투자 등에 의한 재정 부양, 고율 관세 부과 및 자유무역협정 재검토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 그리고 이민 제한 중 어느 정책을 먼저 쓰느냐, 각 정책의 범위나 규모는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구체화될 때까지는 연준도 관망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뉴욕=부형권 특파원 bookum90@donga.com / 조은아 기자
#트럼프#옐런#금리정책#금리인상#미국#글로벌경제#정책#충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