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입력 2006년 1월 11일 17시 28분
공유하기
글자크기 설정
일본 정부는 왕위 계승권자가 없어지는 사태를 막으려면 여왕 인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보수 성향의 정치인과 일부 왕족들은 "'천황제'의 골격을 훼손하는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의 자문기구인 '왕실 전범에 관한 전문가 회의'는 지난해 11월 왕위계승 순위와 관련해 성별을 불문하고 첫 번째 자녀에게 우선권을 줘야 한다는 보고서를 채택한 바 있다.
현 일왕의 사촌인 도모히토(寬仁)는 최근 일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논의가 시작된 지 불과 1년 만에 여성, 여계를 인정키로 한 것은 졸속"이라며 '천황가 혈통의 중요성'에 비추어 신중히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수성향 의원 240명이 가입한 단체인 '일본회의 국회의원 간담회'도 집권 자민당의 여성, 여계 인정방침에 맞서 왕위계승 자격을 남계(男系)로 제한하는 왕실전범 개정안의 의원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반대파의 의견은 △여성, 여계 국왕을 인정하되 계승 순위는 남자 우선 △여왕은 인정하되 여계는 불인정 △현행 유지 등으로 엇갈리고 있다.
반대여론이 예상외로 확산되자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은 3월로 예정된 왕실전범 개정안의 국회 표결 때 자민당 의원들의 찬성을 당명으로 지시해야 한다고 제동을 걸었다.
일본에서 왕위계승 문제가 관심사로 떠오른 것은 왕실에서 40여 년 간 남자가 태어나지 않아 이 상태가 지속되면 126대인 나루히토(德仁) 왕세자 이후 왕위가 끊기기 때문.
마이니치신문이 지난해 11월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78%가 왕위계승 자격을 여성으로 확대하는데 찬성하는 등 국민 여론은 여왕 등장에 호의적이다.
도쿄=박원재특파원 parkwj@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