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1~3월) 매출 79조1400억 원, 영업이익 6조7000억 원을 냈다고 30일 공시했다. ‘갤럭시S25’ 시리즈 판매 호조로 모바일경험(MX)사업부가 4조 원대 영업이익을 냈고 반도체(DS)부문도 D램 출하량 선방으로 1조 원대 영업이익을 냈다.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기존 증권가 전망치 평균을 모두 뛰어넘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05%, 영업이익은 1.2% 늘었다. 매출은 분기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구개발(R&D)비도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인 9조 원을 집행했다.
반도체(DS)부문은 매출 25조1000억 원, 영업이익 1조1000억 원을 냈다. 메모리는 서버용 D램 판매가 확대되고 낸드 가격이 저점에 도달했다는 인식으로 추가적인 구매 수요가 있었다고 삼성전자는 밝혔다. 다만 반도체 수출 통제 등의 영향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는 감소했다. 시스템LSI사업부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사업부는 직전 분기와 마찬가지로 2조 원 안팎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MX·네트워크사업부는 갤럭시S25 시리즈 판매 호조로 매출 37조 원과 영업이익 4조3000억 원을 달성했다. 부품 가격 하락과 자원 효율화를 통해 두 자릿수 수익성을 확보했다고 삼성전자는 밝혔다.
영상디스플레이(VD)·가전사업부는 매출 14조5000억 원, 영업이익 3000억 원을 내며 전 분기 대비 수익성을 향상했다. 하만은 영업이익 3000억 원, 삼성디스플레이는 5000억 원을 냈다.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2분기(4~6월) 전망은 녹록지 않지만 올해 삼성전자 실적은 전반적으로 ‘상저하고’ 양상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최근 글로벌 무역 환경 악화와 경제 성장 둔화 등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실적 예측이 어렵지만 회사는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의 불확실성이 완화될 경우 하반기(7~12월)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