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에 시달리는 서민들

  • Array
  • 입력 2011년 8월 5일 22시 54분


코멘트
"신혼 전셋집을 구하지 못해 무능한 남자친구로 보이는 처지가 답답합니다."
"용돈을 아껴가며 대비를 했지만 터무니없이 오르는 전세금에 집에서 쫓겨나듯 이사해야 하는 심정을 정부가 알아야 합니다."

"외환위기 때보다 상황이 심각한 데 정부가 제대로 알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전세난에 고통 받고 있는 서민들의 비명에 가까운 증언들이다. 이들은 한목소리로 정부가 쏟아내는 전세대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보다 현실적인 보완책 마련을 요구했다.

● 살집 못 구해 결혼 늦춘 예비부부

서울 중구 명동에 사무실을 둔 중소업체에 다니는 송모 씨(28). 그는 얼마 전 결혼을 약속한 여자친구와 크게 다퉜다. 11월초에 결혼하기로 예식장까지 정했지만 신혼살림을 차릴 전셋집을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송 씨는 "결혼날짜를 미루고, 신혼집을 전세에서 월세로 바꿔 찾자고 했더니 여자친구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았다"며 "전셋집을 제대로 구하지 못해 여자친구나 예비 장모님께 능력 없는 사람으로 비춰지는 것 같아 마음이 무겁다"며 우울해했다.

송 씨가 전셋집을 구하기 시작한 것은 전세난이 절정이었던 올해 1월부터. "부모님의 도움 없이 내가 살 집은 내가 마련한다"는 생각에 은행대출까지 합쳐 5000만 원을 마련했다. 하지만 턱없이 부족한 돈이라는 걸 깨닫는 데 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았다. 그 정도 액수로는 서울에서 소형 아파트는커녕 원룸 오피스텔도 구할 수도 없었다. 강남구 전역은 엄두도 낼 수 없었고, 동작구와 관악구 일대를 샅샅이 뒤졌지만 대부분 1억 원을 훌쩍 넘거나 싼 곳도 7000만~8000만 원 이상을 요구했다. 강서구에 사무실이 있는 예비 아내의 출퇴근을 고려해 교통망이 닿을 수 있는 일산신도시와 안양지역도 알아봤지만, 그곳에서도 두 사람이 마음에 드는 집의 전세금은 최소 6000만 원이 넘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전세금이 싼 곳을 찾아 경기 외곽지역으로 갈 수도 없었다. 출근이 두 시간 이상 걸리기 때문이었다.

결국 송 씨는 여자친구를 설득해 전세를 포기하고 월세로 집을 구하기로 했다. 더 이상 늦춰봐야 전세금이 떨어질 가능성이 없어 보이자 여자친구도 받아들였다. 결혼날짜도 12월 중순으로 늦췄다. 송 씨는 "그동안 쏟아낸 정부 대책이 효과를 거두지 못해 전세금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보다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전세금 부담에 회사 근처 집 떠난 직장인

분당신도시에 있는 사무실이 있는 건설회사에 다니는 이모 팀장(42)은 그동안 회사 근처아파트에 전세로 살다 올해 5월 서울 동대문구에 있는 자신의 집으로 'U턴'했다. 2년 새 8000만 원이나 뛴 전세금을 감당하지 못한 탓이다. 덕분에 걸어서 다니던 출근길이 1시간30분 이상 차를 타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 팀장은 외식비, 기름값 등을 아껴서 적금을 모아가며 나름대로 대비를 했지만 예상을 뛰어넘는 전세금 상승에 결국 두 손을 들었다. 이 팀장은 "서울에 직장을 두고 전세를 살던 집주인도 오른 전세금을 보충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올려야만 했다고 말해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며 "2년 사이 8000만 원을 만든다는 건 평범한 직장인에게 불가능한 일이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또 "직장인들이 선호할 수 있는 일부 인기 지역들을 중심으로 주택수급 문제가 오래 전부터 지적됐는데도 정부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현장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 뚝 끊긴 거래에 한숨 쉬는 중개업자

"최근 한 달 동안 계약 한 건도 성사를 못 시켰어요. 파리만 쫓았어요." 4일 서울 마포구 도화동에 있는 H공인중개사 대표 조모 씨는 사무실을 찾은 동아일보 기자에게 한숨을 내쉬었다. 이 자리에서만 15년 공인중개사로 일해 온 조 씨는 "1998년 외환위기 때보다 더 힘들다"고도 했다. 또 "일대에서 비교적 위치가 좋은 곳에 자리 잡은 우리 사무실이 이런 상황인데 골목안쪽에 쑥 들어갔거나 규모가 작은 사무실은 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조 씨는 진단한 원인은 전세금의 비정상적인 상승에 있다. 인근에 위치한 전용 84㎡ 아파트의 전세금이 올해 들어서만 평균 3000만 원이 올랐고, 입주한 지 2년 미만인 새 아파트는 4000만~5000만 원까지 뛰었다. 조 씨는 "이곳에서 공인중개사무실을 차린 이래 이렇게 전세가 빠르게 오른 걸 본 적이 없다"며 "가격이 너무 올라 신혼부부 등 젊은 사람들이 집을 구하지 못하고 돌아서는 걸 보면 안타깝다"고 전했다. 그는 "정부가 '반값 아파트'라며 보금자리 주택을 쏟아내자 무주택 실수요자들이 청약기회를 기다리며 집을 사지 않고 전세로 눌러 앉으면서 이런 현상이 생겼다"며 "정부의 보완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건혁 기자 realist@donga.com
염유섭 인턴기자·서울시립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