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德=心+得… “얻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줘라”

  • Array
  • 입력 2009년 12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노자 도덕경에 압축된 통치철학
사람의 마음을 빼앗는 놀라운 힘


촉한의 유비에게는 조자룡(조운)이란 장수가 있었다. 도원결의를 맺은 관우나 장비와 달리 조자룡은 잠시 유비에게 의탁만 하고 있었다. 유비는 조자룡을 탐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눈치만 봤다. 때를 기다리던 유비에게 마침내 기회가 왔다.

조조의 백만 대군이 유비를 압박했을 때 그는 조자룡에게 2명의 부인과 아들 아두(阿斗)의 안위를 부탁했다. 불행히도 조자룡은 난전 중에 부인 한 명을 지키지 못하고 간신히 아들만 보호할 수 있었다. 그는 갑옷 위에서 새근새근 잠든 유비의 아들을 건네주며 벌을 청했다. 바로 이때 기막힌 반전이 일어났다. 유비는 아들을 건네받자마자 땅바닥에 던져버렸다.

“이까짓 어린 자식 하나 때문에 하마터면 나의 큰 장수를 잃을 뻔했구나!”

조자룡은 황망히 허리를 굽히고 팽개쳐져 우는 유비의 아들을 끌어안고 절규했다. “제가 이제 간뇌도지(肝腦塗地·간과 뇌를 땅바닥에 쏟다)하더라도 주공의 은혜에 보답할 수 없을 것입니다.”<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이때 조자룡은 유비가 나중에 황제가 될 맏아들보다 자신을 더 사랑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당연히 그는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유비를 위해 살겠다는 결의를 다졌다.

○ 사람의 마음을 얻는 덕(德)

우리는 여기서 단순히 아름답고 흐뭇한 장면에만 취해 있어서는 안 된다. 대신 유비가 어떻게 조자룡의 마음을 얻었는지 철학적으로 숙고해야 한다. 제대로 된 답을 찾을 수만 있다면 동양 통치술의 핵심을 발견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유비의 자(현덕·玄德)에 들어 있는 덕(德)이란 개념이다. 사실 이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한비자는 “덕(德)은 득(得)이다”라고 규정했다. 덕은 단순히 도덕적 품성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는 말이다. 물론 여기서 얻는 대상은 ‘사람’이다. 통치자의 덕은 탁월한 신하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이고, 스승의 덕은 탁월한 제자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이다.

덕은 무력이나 재력과는 다른 능력이다. 무력이나 재력으로는 몸을 잡아둘 수 있을 뿐, 마음을 얻기는 어렵다. 하지만 덕은 마음까지 얻을 수 있는 능력이다. 그래서 덕(德)이라는 글자는 ‘얻을 득(得)’과 ‘마음 심(心)’이 합쳐진 형상이다.

○ 빼앗으려면 먼저 줘라

그렇다면 유비는 도대체 어디에서 덕이 가진 놀라운 힘을 배웠던 것일까. 바로 노자의 ‘도덕경’에서였다. 도덕경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빼앗으려고 한다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한다. 이것을 ‘은미한 밝음(微明)’이라고 말한다. 유연하고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는 법이다.”

이는 노자의 통치술이 압축돼 있는 구절이다. 특히 ‘빼앗으려고 한다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만 한다’는 말이 중요하다. 이제 명확해진다. 아두를 땅바닥에 던질 때, 유비는 바로 이 교훈을 실천했다. 자신의 아들보다 더 총애한다는 마음을 주었기 때문에 유비는 조자룡의 마음을 빼앗을 수 있었다.

하지만 유비는 조자룡의 마음을 빼앗으려는 목적으로 아들을 던졌다는 사실을 그에게 보여선 안 되었다. 조자룡이 자연스러운 애정으로 생각하도록 유도해야 했다. 만약 이를 눈치 챘다면 조자룡은 자신을 얻으려는 유비의 속내를 혐오했을 수도 있다. 사람의 마음을 얻기 위해 아들까지 내던지는 무서운 군주라고 생각했을 수 있었다는 얘기다.

이제 유비의 자가 왜 현덕이었는지 분명해진다. 현(玄)은 어둠을 상징한다. 이는 덕으로 마음을 얻으려는 사람에게 자신의 속내를 보이지 말아야 한다는 노자의 가르침을 의미한다. 상대방의 마음을 얻기 위해 무엇인가를 주는 자신의 속내를 보여서는 안 된다는 노자의 가르침을 유비는 한시도 잊지 않았다. 동양의 통치술은 노자의 ‘은미하지만 밝은 덕’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강신주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 contingent@naver.com
국내 첫 고품격 경영저널 동아비즈니스리뷰(DBR) 47호(2009년 12월 15일자)의 주요 기사를 소개합니다.
DBR 웹사이트 www.dongabiz.com, 개인 구독 문의 02-721-7800, 단체 구독 문의 02-2020-0685
▼ City Innovation/역사+자연+예술, 드레스덴의 삼색 매력
최근 정운찬 국무총리가 세종시 개발에 필요한 벤치마킹 도시로 독일의 드레스덴을 언급해 관심을 끌었다. 드레스덴은 ‘엘베 강의 피렌체’라 불리는 아름다운 도시다. 드레스덴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대규모 공습으로 잿더미가 됐지만, 성공적으로 재기해 지금은 세계 각국의 관광객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 역사 유적, 자연 경관, 예술 등 세 가지 도시 자산을 보존 및 복원하려는 시민들의 노력과 기업 도시 개발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재기의 원동력이었다.
▼ 패션과 경영/명품 보석에 푹 빠진 명품 패션
루이뷔통, 크리스티앙 디오르 같은 패션 명품업체들이 초고가 보석인 하이 주얼리 시장으로 속속 진출하고 있다. 제품 하나의 가격이 보통 수억 원에 이르는 하이 주얼리는 하나만 팔아도 가방이나 신발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많은 이윤이 남기 때문이다. 또 장인정신으로 똘똘 뭉친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심어주고 싶어 하는 패션 명품업체엔 가방이나 신발보다 훨씬 높은 전문성과 정밀함을 요구하는 하이 주얼리로의 진출이 좋은 다각화 전략이 된다.
▼ Knowledge @ Wharton/글로벌 팀, 코스모폴리탄과 지역 인재의 결합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끼리 글로벌 팀을 만들 때 어떻게 해야 성공할 수 있을까. 글로벌 팀의 팀원들은 서로 떨어져 있어도 적어도 한 번은 직접 대면할 시간을 가져야 한다.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필수다. 팀원을 뽑을 땐 업무 능력 못지않게 팀워크 능력도 중시해야 한다. 또 팀원들이 글로벌 팀의 자체 통제권을 가질 수 있도록 재량권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 Harvard Business Review/혁신가, 그들의 DNA가 궁금하다
스티브 잡스, 제프 베조스를 비롯한 혁신적인 최고경영자(CEO)들의 습관을 살펴보면 창의적인 사고의 근간이 무엇인지 밝혀낼 수 있다. 연구 결과 가장 혁신적인 기업가들은 5가지의 ‘발견 능력’을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혁신가는 서로 무관해 보이는 문제나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연결하는 ‘관련짓기’, 질문을 통해 현 상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고려하는 ‘질문 던지기’를 비롯해 ‘관찰하기’ ‘실험하기’ ‘교류하기’ 능력이 일반인과 구별될 정도로 뛰어났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