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의암댐 물 빠지자 드러난 ‘중도식 토기’… ‘원삼국’ 역사 다시 써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9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15> 춘천 중도 유적 발굴한 이강승 충남대 교수

이강승 충남대 교수가 지난달 24일 강원 춘천시 중도에서 1980년 발굴 당시 작업(아래 사진)을 회고하고 있다. 그가 발굴한 1호 집자리에서는 고고학 교과서의 내용을 바꾼 ‘중도식 토기’가 발견됐다. 춘천=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이강승 충남대 교수가 지난달 24일 강원 춘천시 중도에서 1980년 발굴 당시 작업(아래 사진)을 회고하고 있다. 그가 발굴한 1호 집자리에서는 고고학 교과서의 내용을 바꾼 ‘중도식 토기’가 발견됐다. 춘천=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지난달 24일 이강승 충남대 교수(67)와 찾은 강원 춘천시 중도(中島). 그가 1980년 발굴해 대학 교재와 교과서에도 실린 ‘중도식(中島式) 토기’가 나온 1호 집자리(주거지 흔적)는 이미 사라진 지 오래였다. 흔한 표지판조차 없이 삭막한 아스팔트 포장도로만 유적 위를 덮고 있었다. 이 교수는 36년 전 어렴풋한 기억을 되살려 1호 집자리가 있었을 위치에서 사진촬영을 마쳤다. 집자리 근처에서 50여 m 떨어진 레고랜드 사업부지에서는 터파기 공사가 한창이었다. 2014년 사업부지 안에서 1400여 기에 이르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과 주거지 등이 무더기로 발견돼 개발 논란이 일었다.

“많은 게 바뀌었지만 선착장 자리는 그대로군요. 모든 이야기는 저기서부터 시작합니다.” 지난해 정년을 맞은 노교수의 눈은 이미 1977년을 향하고 있었다.

○ 운명은 정해진 자의 몫

민무늬에 바닥이 평평하고 주둥이가 바깥으로 벌어진 전형적인 ‘중도식 토기’.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민무늬에 바닥이 평평하고 주둥이가 바깥으로 벌어진 전형적인 ‘중도식 토기’.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가봐야 별 것 없을 거요. 내가 방금 가보니 토기 조각 하나 없습디다.”

1977년 5월 20일 춘천 중도 건너편 선착장. 지표조사차 중도행 배를 기다리던 이강승 당시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가 안춘배 문화재관리국 전문위원(전 신라대 교수)을 우연히 만났다. 중도 조사를 마치고 빈손으로 돌아온 안춘배의 말에 그는 별 기대감 없이 배에 올랐다. 하지만 운명은 정해진 자의 몫이던가. 그는 운 좋게도 중도에 도착한 직후 강물에 의해 깎인 중도 단층에서 토기 조각을 발견했다. 의암댐 수위 조절로 만수위 때 중도를 방문한 안춘배는 물속에 단층이 잠겨 토기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이강승은 수위가 낮아질 때 들어가 이를 볼 수 있었던 것이다.

행운이 계속 이어졌다. 3년 뒤 본격적인 발굴에 앞서 1980년 5월 중도 사전답사를 나섰을 때에도 강가 단층에서 토기를 찾아냈다. 이번에는 지표조사 때보다 더 큰 수확을 얻었다. 조각이 아닌 완형(完形)의 토기가 나온 것이다. 그는 중앙박물관 고고부로 수습한 토기를 가져왔다. 그즈음 다른 업무차 고고부를 방문한 한병삼 당시 국립경주박물관장이 이 토기를 보고 깜짝 놀랐다. 한병삼은 “야, 대단하다!”는 감탄사를 내뱉고 서둘러 최순우 중앙박물관장을 만나 “대단한 발견을 한 것 같다”고 귀띔했다. 박물관이 이후 5년간 진행한 중도 발굴의 서막이었다. 이강승은 “한 관장은 경주에서 나온 와질토기(瓦質土器·회색이며 기와처럼 무른 토기)의 고고학적 맥락을 잘 알고 있었다”며 “중도 토기를 보고 와질토기와 대응하는 유물이 한반도 중부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간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중도식 토기, 원삼국시대를 보는 창


1970년대 후반 경주 조양동 등에서 발견된 와질토기는 고고학계에 실체를 둘러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와질토기는 원삼국시대 토기로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와 삼국시대 토기를 잇는 과도기 단계로 결론이 났다. 그런데 와질토기에 해당하는 원삼국시대 토기가 중부지방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한동안 오리무중이었다. 민무늬 혹은 타날문(打捺文·실이 감긴 도구로 두드려 새긴 무늬)토기로 나뉘는 중도식 토기가 발견되면서 잃어버린 고리를 찾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학계는 중도식 토기가 원삼국시대 문화 교류의 양상을 반영하는 핵심 자료라고 평가한다. 예를 들어 중도식 타날문토기는 연나라 등 중국 전국시대 문화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중도식 민무늬토기는 우리나라 청동기 전통을 잇는 것으로, 한반도 서북지역 혹은 동북지역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강승은 “중도에서는 민무늬토기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훨씬 많았다”며 “이곳 주민들이 타날문토기 제작 기술을 나중에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노학자의 겸손 그리고 용기

누구든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법이다. 용기와 겸손함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이강승은 1980년 당시 1호 집자리가 ‘여(呂)자’형 구조라는 사실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고백했다. 사각형 주거지에 대한 편견에 갇혀 주거 공간 앞에 또 하나의 전실(前室)이 있으리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앙박물관의 1980년대 발굴보고서에는 1호 집자리가 말각방형(抹角方形·모서리를 둥글게 한 사각형) 형태라고만 기술돼 있다. 1호 집자리의 여자형 구조는 2010년 중도 재발굴 때 뒤늦게 밝혀졌다.

“중도는 현장 책임자로 첫 발굴이어서 미숙한 점이 많았고 부담감도 컸습니다. 돌이켜보면 시간, 예산의 제약으로 폭넓게 발굴하지 못한 게 아쉽습니다. 앞으로 원삼국시대 무덤과 문화 전파 경로에 대한 연구가 더 이뤄져야 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레고랜드 개발이 불가피하다면 유적 파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진행되길 바랍니다.”

 
● 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

[14회]‘백제 정지산 유적 〓 빈전’ 무령왕릉 지석으로 풀었다

[13회]비파형동검 발굴의 달인… 국내 40점중 18점을 그의 손으로

[12회]“일본보다 600년 앞선 탄화미 발견… 내 인생 최고의 유물”

 
춘천=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이강승 충남대 교수#춘천 중도 유적#중도식 토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