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걸 다 재는 단위 이야기/호시다 타다히코 지음·허강 옮김/264쪽·1만5000원/어바웃어북
◇세상의 금속/라인하르트 오스테로트 지음·이수영 옮김/168쪽·1만3000원/돌베개
저유가 시대지만 주유소 휘발유 값은 여전히 1L에 1300∼2000원가량이고,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원유인 중동산 두바이유 가격은 최근 배럴당 45달러 안팎이다. 휘발유와 원유의 가격 차이가 얼마나 되는지 알고 싶다면 단위를 통일해야 한다. 1배럴이 158.9L이니 원유가는 1L에 약 0.28달러(약 313원)다. 세금과 부가가치가 더해져 휘발유는 원유보다 L당 1000원 이상 가격이 비싸진 것이다.
‘별걸 다 재는 단위 이야기’는 일본의 중학교 교사가 학생들이 과학에 흥미를 가졌으면 좋겠다는 뜻에서 쓴 책이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각종 단위가 어디서 유래됐고 어떤 양을 표시하는 것인지 친절하게 설명한다. 가게에서 파는 아이스크림의 단위인 ‘쿼터’나 ‘파인트’는 어떤 단위일까. 미국에서 쓰이는 도량형 단위계인 ‘야드파운드법’에서는 액체의 부피를 ‘갤런’으로 잰다. 갤런은 라틴어로 물이 든 양동이를 의미하는 ‘galleta’에서 나왔다. 미국의 1갤런은 3.785L로 쿼터는 4분의 1갤런(946mL), 파인트는 8분의 1갤런(473mL)이다.
원유를 거래하는 단위인 배럴(bbl)은 와인이나 위스키 같은 액체를 담아 보관했던 원형 나무통의 이름에서 비롯됐다. 배럴에 석유를
담아 운송하기 시작한 건 1850년대 미국에서부터다. 1배럴은 42갤런(158.9L)으로 1872년 정해졌다. 어바웃어북 제공과거에는 권력자의 몸이 길이 단위의 기준이 되기도 했다. 고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를 지을 때 사용된 단위는 큐빗으로 파라오의 팔꿈치에서 손가락 끝까지의 길이다. 영국에서 생긴 길이 단위 ‘야드’는 헨리 1세의 몸이 기준이었다. 그는 “내가 팔을 옆으로 쭉 뻗었을 때 코끝에서 손끝까지의 길이를 1야드로 정한다”고 공포했다. 현대의 1야드는 미터 기준으로 0.9144m로 정의한다.
책에 나오는 단위의 의미를 따라가다 보면 흥미로운 점이 적지 않다. 튀김이 올라간 덮밥 한 그릇의 열량은 약 731Cal(73만1000cal)다. 1cal가 물 1g의 온도를 1도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니 덮밥 한 그릇의 열량은 물 10kg을 0도에서 73.1도로 데우는 데 쓰인 열량과 같다.
저자의 “내가 거래하는 은행 보통예금 이율이 0.03%에 불과하니 차라리 100만분의 1을 뜻하는 ‘ppm’ 단위를 사용해 300ppm이라고 쓰자”는 주장에는 웃음이 나오고, 축구공의 질량이나 돈가스의 열량을 표시하면서 굳이 괄호 안에 ‘시합 전’ ‘안심’ 기준이라고 밝혀 놓은 것은 일본인다운 꼼꼼함으로 보인다.
스위스 현대 예술가인 장 팅겔리의 1964년 작품 ‘유레카’. 고철과 전기 모터를 사용했다. 돌베개 제공 ‘세상의 금속’도 일본인 못지않은 철저함을 자랑하는 독일인 저널리스트가 썼다. 주기율표의 금속 원소에서 스마트폰 제조에 사용되는 희토류 금속까지 금속에 관한 이모저모를 담았다. 저자는 광부와 대장장이는 농업과 무관한 일 가운데 처음으로 전일제 직업이 됐다고 말한다. 45억 년 전 무거운 금속들이 지구의 핵 속으로 가라앉았는데도 지각에 금속이 많은 이유는 수십억 년 전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과 유성 때문이라고 한다. 두 권 모두 내용이 장절별로 독립적이어서 틈날 때마다 흥미로운 부분만 조금씩 읽어도 좋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좋아요
0개
슬퍼요
0개
화나요
0개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16-09-03 07:45:29
단위에 관한 책을 소개하는 기사여서 그런건 아니겠지만 오랜만에 정확한 단위 표기들을 본다. 앞으로도 이처럼 정확한 표기를 계속 볼 수 있길 기대한다. 더 정확히는 숫자와 단위는 한칸 띄어 쓴다. 각도를 나타내는 도분초 o, ", ' (온도와 시간말고) 와 %만 붙인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16-09-03 07:45:29
단위에 관한 책을 소개하는 기사여서 그런건 아니겠지만 오랜만에 정확한 단위 표기들을 본다. 앞으로도 이처럼 정확한 표기를 계속 볼 수 있길 기대한다. 더 정확히는 숫자와 단위는 한칸 띄어 쓴다. 각도를 나타내는 도분초 o, ", ' (온도와 시간말고) 와 %만 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