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1058>昔者에 齊景公이…

  • Array
  • 입력 2010년 12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맹자는 齊나라 宣王(선왕)에게 백성의 윗사람이 되어 백성을 구휼하지 않아 與民同樂(여민동락)을 하지 못한다면 백성은 윗사람을 비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리고 군주는 온 천하의 사람과 함께 근심하고 또 온 천하의 사람과 함께 즐거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맹자는 춘추시대 제나라가 번성하던 시절 제나라 景公에게 재상 晏子(안자)가 조언했던 말을 거론했다. 晏子는 곧 晏영(안영)이다.

轉附와 朝D는 각각 산 이름이다. 遵海而南은 제나라 해변을 따라 남쪽으로 향한다는 말이다. 제나라는 산둥 반도 연안에 있던 강대국이다. 南은 동사로 전성되었다. 放은 至(지)의 뜻이고 琅邪는 고을 이름이다. 何修는 ‘어떤 식으로 한다면’이다. 善哉問也는 감탄의 뜻을 나타내기 위해 앞뒤의 말을 도치시켰다.

‘巡狩者, 巡所守也’는 狩와 守의 발음이 같고 뜻이 유사한 것을 이용한 정의 방식이다. ‘述職者, 述所職也’도 같은 정의 방식이되 같은 글자 職을 사용했다. 無非事者는 천자도 제후도 遊觀하지만 천자는 巡狩를 하고 제후는 述職을 하므로 모두 政事의 일환이라고 말한 것이다. 春省耕而補不足과 秋省斂而助不給은 對(대)를 이룬다. 耕은 耕作(경작), 斂은 收穫(수확)이다. 不足과 不給은 같은 말이되, 不足은 농구가 모자라는 것, 不給은 노동력이 모자라는 것이라 보아도 좋다.

근세 이전의 군주는 一言一事(일언일사)가 모두 政令(정령)이자 政事였다. 군주 개인을 권력으로 간주한 것은 현대와 맞지 않지만 군주로서의 職分(직분)을 중시한 점은 오늘날도 생각할 점이 많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