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이후 격동의 시대, 詩는 삶의 전부”

  • Array
  • 입력 2010년 2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문학평론가 김치수 교수, 간암 투병 ‘40여년 文友’ 최하림 시인을 만나다

《암 투병 중인 노(老)시인이 사는 곳은 경기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의 아담한 담홍빛 2층 주택이었다.
최근 그는 문학인생을 마무리하는 듯 시집으로 묶이지 않은 근작 20여 편을 포함해 시 전집을 출간했다.
병세를 안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을 서둘렀다.
전집이라지만 일평생 일곱 권의 시집밖에 내지 않았던 과작의 시인이라 500페이지 분량의 한 권으로 만들어졌다. ‘최하림 시전집’이다.》

■ 김치수 교수
“모더니즘서 출발, 현실로 지평 넓힌 최 시인 작품세계는 우리 세월을 응축”

■ 최하림 시인
“시쓰기 그만두고 강으로 나서니 흐르는 물을 붙잡을 생각 없어져”


“힘 없어도 계속 조금씩 움직이며 다녀야지. 날이 좋아지면.” 시 전집과 신작 비평집을 새해 선물 삼아 주고받은 뒤 김치수
교수(오른쪽)가 최하림 시인의 손을 잡으며 말했다. 최 시인은 이 말을 그대로 받아 다짐하듯 말했다. “그래, 날이 좋아지면.”
양평=원대연 기자
“힘 없어도 계속 조금씩 움직이며 다녀야지. 날이 좋아지면.” 시 전집과 신작 비평집을 새해 선물 삼아 주고받은 뒤 김치수 교수(오른쪽)가 최하림 시인의 손을 잡으며 말했다. 최 시인은 이 말을 그대로 받아 다짐하듯 말했다. “그래, 날이 좋아지면.” 양평=원대연 기자
17일 오후 문학평론가 김치수 이화여대 명예교수(70)와 함께 이곳을 찾았다. 정원이 내다보이는 창가에 미동 없이 앉아 있던 시인(71)이 몸을 일으켰다. 거동이 불편한데도 시인은 지팡이를 짚고 기어코 자리에서 일어났다. 김 교수의 손을 맞잡은 그의 표정은 반가움으로 환해졌다. 호수가의 호젓한 전원주택은 가끔씩 그의 서울예대 제자들이 들르는 것 외엔 찾는 이가 많지 않다고 했다. 시인은 “외롭다”고 짧게 말했다.

이들의 인연은 그 자체로 한국 현대문학사의 일면을 대변해 준다. 1960년대에 문학 활동을 시작한 4·19세대 문인들이자 평론가 김현, 소설가 김승옥 씨 등과 함께 한국문단 최초로 ‘한글세대’의 등장을 알렸던 동인지 ‘산문시대’를 펴냈다.

김 교수가 양평을 찾은 것은 지난해 여름 투병 소식을 듣고 방문한 후 몇 개월 만이었다. 때마침 최 시인의 시 전집과 나란히 김 교수의 신작 비평집 ‘상처와 치유’가 같은 출판사에서 나왔다. 최 시인은 힘에 부친 듯 말수가 눈에 띄게 적었지만 동시에 출간된 김 교수의 책을 받아 들면서 “잘됐어, 아주 잘된 일이지”라고 연방 고개를 끄덕였다.

최 시인은 간암 확진을 받은 직후인 지난해 봄부터 전집을 준비해 왔다. “암이란 게 상상력을 앗아가는 것 같아. 시술 받는 것이 너무 힘들고 걸을 수도 없으니 생각이 혼란스럽기 짝이 없고. …힘 닿는다면 열 편 정도 새로 보태고 싶었는데 그러질 못했지.”

최 시인의 나지막한 말에 김 교수는 고개를 가로저었다. “마음만 잘 먹으면 병마를 이길 힘도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시집도 아주 잘 나왔던데, 서문을 읽으니 착잡해지고 흐뭇해지고 여러 생각이 들었네.”

최 시인은 서문에서 삶의 끝자락을 응시하는 듯 이처럼 담담히 읊조렸다.

“마침내 나는 쓰기를 그만두고 강으로 나갑니다. …죽은 자들과 대면할 시간도 얼마 남지 않은 나는 흐르는 물을 붙잡으려고 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도 내 시들은 그런 시간을 잡으려고 꿈꾸는 것인지도 모르지요.”

그런 몇몇 문장이 떠오른 듯 김 교수가 말끝을 흐리자 시인은 농담으로 분위기를 전환시켰다. “어쨌든 다른 건 몰라도 ‘문지’에서 나온 시집들 중 장정은 내 것이 최고야.” 시 전집 표지 이미지로 쓰인 것은 알베르토 자코메티의 조각이다. 화제는 자연스레 1960년대 ‘산문시대’ 발간에 얽힌 추억들로 이어졌다. 앙상한 뼈만 추려낸 자코메티의 조각을 유난히 좋아했던 최 시인은 그들이 꾸렸던 ‘산문시대’의 표지로 그의 작품을 쓴 적이 있었다. 김 교수는 그들의 오래전 만남을 회상하면서 “김현은 방학이면 목포에 내려가 편지로 소식을 전했다. 하루는 ‘여기 음악, 미술, 문학 뭣 하나 모르는 것이 없는 기막힌 천재 시인을 만났으니 보러 오라’는 소식을 전해왔는데 그게 최하림 씨였다”고 말했다.

동인지 ‘산문시대’가 발행되는 동안 이들은 한 달 동안 하숙집에서 합숙을 하면서 책을 만들었다. 김 교수는 “누가 봐도 비리비리했던 대학생들”이라고 표현했지만 그들은 반세기 뒤 한국 문단의 중심축을 차지하게 됐다.

최 시인은 “돌이켜보면 시 쓰기는 사는 것이었고 전부였다. 우리 시대는 그랬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모더니즘 계열에서 출발했지만 역사현실에 대한 관심을 넓혀갔던 최 시인의 시 세계는 우리가 살아온 세월을 그대로 보여준다” 말했다. 식민사관을 극복하고 4·19혁명이라는 자유민주주의의 발아를 토대로 한글 문체와 독특한 감수성을 새롭게 발견해 냈다는 자긍심은 아직까지도 이 두 문인을 엮는 단단한 끈이었다.

병세로 긴 대화가 힘들었지만 이들의 대화는 훌쩍 한 시간을 넘겼다. 시인은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위에 따로 놓인 책을 가져다 달라고 부탁했다. 두꺼운 갱지 봉투에 잘 싸인 그것은 자신의 시전집이었다. 시전집을 선물로 받아 든 김 교수는 한사코 배웅하러 나서려는 그를 만류하며 “추우니 나오지 말게. 몸조리 부디 잘하시게” 하고 손을 굳게 잡았다.

양평=박선희 기자 tell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