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본, 이태원 참사 목격자 등 85명 조사 “사고 원인 중점적 규명”

  • 동아닷컴
  • 입력 2022년 11월 4일 12시 42분


코멘트
이태원 참사 사고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사고 7일째인 4일까지 서울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을 포함해 현장 경찰관, 주변 상인과 목격자와 부상자 등 85명을 조사하며 사고원인 규명에 주력하고 있다.

손제한 특수본부장은 4일 서울경찰청 마포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참사 목격자 및 부상자 67명과 인근 업소 관계자 14명, 현장 출동 경찰관 4명 등 85명에 대해 조사를 마쳤다”며 “현장 인근 폐쇄회로(CC)TV 등 영상 141개 확인 중이고 국과수를 통해 3D 시뮬레이션으로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수본은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과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 3명 등 모두 4명의 경찰 공무원을 불러 조사했지만 이들을 포함해 아직 입건된 피의자는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손 본부장은 “현장 상황을 재구성할 당시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과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 3명이 참고인으로 조사받았지만 아직 혐의를 발견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며 “압수물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관계자 조사를 차례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수본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사고 원인 파악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사고 원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고 있다"며 "사고 원인 규명 후 사후 조치 등이 적절했는지 등도 수사 대상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고의 직접적 원인에 대해서는 “사람이 넘어져서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이것도 아직 정확치 않다”며 “국과수 3D 시뮬레이션 통해 과학적으로 검증 받아 볼 예정”이라고 전했다.

사고 원인이 어느 정도 규명될 경우 용산경찰서와 용산구청 등 관계 당국이 안전사고 가능성이 있는데도 대비를 소홀히 했다는 의혹, 참사 발생 후 경찰이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해 피해를 키웠다는 의혹에 대한 조사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수본 관계자는 “핼러윈 대비 적절한 안전관리대책이 세워졌는지 여부는 압수물 토대로 관련자를 불러 구체적으로 진술을 들어봐야 알 수 있다”며 “경찰과 지방자치단체 등 안전조치 주체들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진행하겠다.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신속히 용산구청장 등 지자체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참사 당시 경찰이 지하철 이태원역 측에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의혹에 대해선 “구체적인 (경찰-이태원역 간) 통화내역 등 여러 가지를 압수수색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고 했다.

특수본 관계자는 윤희근 경찰청장도 수사대상이 되느냐는 질문에 “전제를 깔고 (수사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모든 가능성을 두고 수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이 책임 지적이 제기되는 데 대해서는 “그 부분도 당연히 수사범위에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사고 발생 4시간 전부터 압사 위험성을 알리는 112신고가 11건 접수됐음에도 7건은 현장에 출동하지 않은 구체적인 사유, 현장에서 기동대 등 추가 경력을 지원을 요청했음에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의혹 등에 대해서도 “추후 관련자 조사를 통해 파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치훈 동아닷컴 기자 sch53@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