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의 장막’ 걷고 소련과 ‘데탕트’… 美 초강대국 만든 외교 달인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2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헨리 키신저 1923~2023]
‘탈냉전 외교거목’ 잠들다
헨리 키신저 前 美국무장관 타계
‘힘의 균형 통한 현실주의’ 소신… 베트남 정전 협정 주도 노벨평화상
100세 맞은 올해까지 영향력 발휘… “지나친 강대국 중심 외교” 비판도

강대국 간 긴장 완화를 통해 ‘냉전의 열전화’를 막았던 미국 외교의 ‘살아 있는 전설’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이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세상을 떠났다. 향년 100세. 헨리 키신저 협회는 이날 “키신저 전 장관이 코네티컷주(州) 자택에서 별세했다”고 밝혔다.

키신저 전 장관은 냉전이 한창이던 1970년대 핑퐁외교를 통해 ‘죽(竹)의 장막’으로 가려져 있던 중국과 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고, 소련과는 ‘데탕트(détente·긴장 완화)’를 조성하는 등 국제질서를 바꾸고 미국을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 반열에 올린 외교의 거목이다. 일각에선 지나친 강대국 중심 외교로 약소국의 비극에 눈을 감았다는 비판도 있다.

● 두 정부에 걸쳐 안보보좌관-국무장관

15세 때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온 키신저 전 장관은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이다. 1923년 독일 바이에른주에서 유대인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난 그는 나치의 탄압이 심해지자 1938년 가족과 함께 미 뉴욕으로 이주했다. 당시 영어를 한마디도 못 했지만 공장에서 일하면서 틈틈이 학습해 이주 2년 만에 뉴욕시립대(CUNY)에 진학했다.

회계사가 되려던 그의 꿈을 바꿔놓은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다. 독일 정보 수집 임무를 맡은 그는 연합군 점령지에서 나치 대원들을 색출하는 데 공을 세워 청동무공훈장을 받았다. 키신저 전기를 쓴 월터 아이작슨은 “박해받던 유대인이 20대 초반 나치에 대한 생살여탈권을 휘두르며 키신저는 권력지향적이고 현실주의적인 세계관을 갖게 됐다”고 분석했다.

키신저는 1969년 당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발탁하면서 본격적인 외교무대에 섰다. 이후 제럴드 포드 행정부에서 1977년까지 국무장관을 지내며 약 8년에 걸쳐 세계 질서를 혁명적으로 바꿨다.

1969∼1977년 미국 리처드 닉슨 행정부와 제럴드 포드 행정부에 걸쳐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무장관을 지낸 헨리 키신저는 재임 때는 물론이고 퇴임 후에도 전 세계를 누비며 영향력을 발휘했다. 키신저 전 국무장관은 1971년 중국을 방문해 마오쩌둥 주석을 만나 적대적이던 미중 관계 개선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AP 신화 뉴시스
1969∼1977년 미국 리처드 닉슨 행정부와 제럴드 포드 행정부에 걸쳐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무장관을 지낸 헨리 키신저는 재임 때는 물론이고 퇴임 후에도 전 세계를 누비며 영향력을 발휘했다. 키신저 전 국무장관은 1971년 중국을 방문해 마오쩌둥 주석을 만나 적대적이던 미중 관계 개선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AP 신화 뉴시스
키신저 전 장관은 1969년 냉전시대의 라이벌인 소련과 핵군축 협상을 시작했다. 쿠바 미사일 사태를 거치며 짙어진 핵 공포 속에 추진된 미소 데탕트는 1972년 미소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타결로 이어졌다. 1971년에는 두 차례 중국 방문을 통해 이듬해 리처드 닉슨 대통령과 마오쩌둥(毛澤東) 주석 간 첫 미중 정상회담을 끌어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4년 미국을 방문했을 때 키신저 전 장관은 포드 대통령과 함께 박 전 대통령을 맞았다. AP 신화 뉴시스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4년 미국을 방문했을 때 키신저 전 장관은 포드 대통령과 함께 박 전 대통령을 맞았다. AP 신화 뉴시스
한반도 문제에도 깊이 관여했다. 1975년 9월 유엔 총회에서 그는 “북한 및 북한의 동맹국이 대(對)한국 관계 개선 조치를 취하면 한미도 상응 조치를 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키신저 자신이 주도적으로 기획한 미중, 미소 데탕트의 흐름 속에 주변 강대국을 움직여 한반도 냉전 구조를 깨려는 제안을 한 셈이다.

그가 탈냉전을 추구한 것은 ‘강대국 간 힘의 균형을 통한 불완전한 평화가 전쟁보다 낫다’는 현실주의적 소신 때문이었다. 정치학자 로버트 캐플런은 키신저를 가리켜 “미국이 펼치고 싶은 게 아닌, 펼쳐야만 하는 외교정책을 펼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 ‘강대국 중심’ 외교에 대한 논란도

키신저 전 장관은 1973년 미군 철수와 남북 베트남 정전협정 체결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그해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 4차 중동전쟁이 벌어지자 중동 각국을 활발하게 오가며 중재 활동을 벌여 휴전을 이끌어냈다. 외교적 중재를 위해 여러 국가들을 번갈아 방문하는 ‘셔틀외교’라는 말도 이때 만들어졌다.

국무장관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여러 정권에 걸쳐 대통령 외교자문으로 막후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9·11테러 대응 자문을 맡았고,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이라크전쟁을 지지했으며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땐 크림반도의 러시아 할양을 통한 서방과 러시아의 긴장 완화를 촉구했다.

2007년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환대를 받고 있다. 두 사람은 1990년대부터 정기적으로 만남을 이어왔다. AP 신화 뉴시스
2007년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환대를 받고 있다. 두 사람은 1990년대부터 정기적으로 만남을 이어왔다. AP 신화 뉴시스
하지만 강대국 중심 외교에 대한 논란도 적지 않다. 키신저 전 장관은 남북 베트남 정전협정을 위해 민간인 50만 명의 사망으로 이어진 캄보디아 폭격을 승인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미중 데탕트를 위해 중국의 지원을 받은 파키스탄의 방글라데시 학살을 묵인했다는 비난도 받고 있다. 2017년에는 미국과 중국이 북한 정권 붕괴와 주한미군 철수를 맞바꾸는 ‘빅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올해 7월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도 회동했다. AP 신화 뉴시스
키신저 전 장관은 올해 7월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도 회동했다. AP 신화 뉴시스
키신저 전 장관은 최근 하버드대에서 열린 대담에서 “상황은 언제든 쉽게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나는 내가 남길 유산(legacy)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내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가치를 위해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윤다빈 기자 empty@donga.com


#헨리 키신저#타계#강대국 중심 외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