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실적 8개월 만에 최악…코스피 2300붕괴·환율 10.3원 급등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0월 26일 21시 25분


코멘트
코스피가 10개월 만에 2300선 밑으로 떨어진 26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64.09포인트(p)(2.71%) 하락한 2299.08을 나타내고 있다. 2023.10.26/뉴스1
26일 코스피는 미국 국채 금리 상승 등의 여파로 1.58% 하락한 2,325.82에 개장한 뒤 낙폭을 확대했다. 특히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악화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급습 소식이 전해지면서 외국인들이 4790억 원의 주식을 쏟아내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결국 코스피는 10개월 만에 2,300 선이 붕괴된 2,299.08로 장을 마쳤다. 이날 코스피 하락 폭(2.71%)은 올 들어 최대로 3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때(─2.56%)를 넘어섰다. 주가 하락 종목은 836개로 상승 종목(81개)의 10배가 넘었다. 코스닥도 전날보다 3.50% 급락했다.

이날 외국인투자가들의 투매는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과 중동 위기 등으로 글로벌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외국인투자가는 이달 들어 국내 증시에서 2조 원 넘게 주식을 순매도했다.

● 기업 경기 8개월 만에 최악
이날 증시가 급락한 것은 고금리, 고물가에 기업 실적 악화까지 ‘3중 악재’가 덮친 데 따른 것이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이달 전 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3포인트 하락한 70으로 올 2월(68) 이후 가장 낮았다. 일부 제조업의 실적 회복에도 소비 심리가 나빠지면서 기업 체감경기가 꺾였다. 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인들의 판단과 전망을 산출한 통계로, 100 아래면 현 경기를 부정적으로 본다는 뜻이다.

기업들은 4분기(10~12월) 경기 전망도 어둡게 보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을 제시한 상장사 242개의 4분기 매출 전망치는 614조5950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1.12% 줄었다. 영업이익 전망치도 41조12억 원으로 2.13% 감소했다.

기업들의 실적 악화는 수출 감소 영향이 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한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2분기(4~6월) 수출은 1558억 달러(약 211조8101억 원)로 1년 전보다 12.0% 줄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수출 감소 폭(― 3.5%)의 3배가 넘는다.

● 소비자들 지갑 닫고, 기업 투자 줄여
26일 코스피가 전 거래일(2363.17)보다 64.09포인트(2.71%) 하락한 2299.08에 거래를 종료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49.7원)보다 10.3원 높아진 1360원에 마감했다. 2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23.10.26. 뉴시스
글로벌 채권 금리의 기준점 역할을 하는 미국 국채 금리의 상승은 국내 시장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막대한 가계부채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상승은 빚 부담을 높여 가계 소비를 위축시킨다. 또 대출을 통해 사업자금을 확보하는 기업들의 투자를 저해한다. 김미루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미국 국채금리 상승이 국내 시장금리 인상과 연동되면서 국내 소비가 위축되고 있다”며 “기업도 투자를 줄이고 있는 상태로 경기 회복 시기는 계속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8.1로 9월(99.7)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7월(103.2) 이후 계속 하락세다. 중동 위기에 따른 유가 불안으로 기대인플레이션이 8개월 만에 상승하면서 소비 위축을 부추기고 있다. 또 3분기 설비투자가 전 분기보다 2.7% 감소하는 등 투자도 줄고 있다.

문제는 고금리 장기화로 가계와 기업의 연체율이 높아지며 금융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8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달보다 0.0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20년 2월(0.43%) 이후 42개월 만에 최고치다. 기업 대출 연체율도 0.47%로 전달보다 0.06%포인트 높아졌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에서 전면적인 재정확대 정책을 쓰기는 어렵겠지만 취약 차주나 한계기업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동훈 기자 dhlee@donga.com
소설희 기자 facth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