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5세대(5G) 이동통신 특화망과 클라우드 기반의 로봇 시스템 ‘아크(ARC)’ 등의 첨단 기술을 내년까지 상용화한다. 최근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기존 사옥 바로 옆에 완공한 제2사옥 ‘1784’에서 활용 중인 배송로봇 등의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한편 다른 기업에 대한 서비스에도 나서겠다는 것이다.
네이버랩스와 네이버클라우드는 8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클라우드 강남오피스에서 미트업(Meetup) 행사를 열고 ‘팀 네이버’가 갖춘 다양한 분야의 기술력을 성공적으로 융합시켜 만들어 낸 아크와 ‘5G 특화망 패키지’를 내년까지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팀 네이버는 네이버랩스·네이버클라우드를 비롯한 6개 사업법인과 클로바·아폴로 등 8개의 사내독립기업(CIC)으로 구성됐다.
인공지능(AI), 로봇(Robot), 클라우드(Cloud)를 줄인 말인 아크는 ‘브레인리스 로봇’ 기술이 적용된 네이버의 클라우드 로봇 시스템이다. 본체에 내장된 기기가 아니라 AI·클라우드가 실시간으로 연결돼 로봇들의 두뇌 역할을 한다. 건물 내의 수십, 수백 대 로봇들과 정보를 동시에 공유하면서 자율주행 경로를 초저지연·실시간으로 제어한다.
네이버는 올해 초 완공된 1784에 이어 내년 세종시에 구축할 예정인 제2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AI·클라우드·5G·디지털 트윈·로보틱스·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이 융합된 거대한 기술 테스트베드(시험 공간)으로 삼을 계획이다. 1784에서는 자율주행로봇인 ‘루키’, 얼굴인식을 통한 시설 이용 시스템 ‘클로바 페이스사인’, ‘네이버웍스 앱’을 통한 온도·조명·환기 조절, 식음료 주문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적용됐다. 각 세종에서는 서버 관리자를 돕는 로봇·자율주행 셔틀버스 등의 실험이 진행 중이다. 박원기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의료, 공항, 물류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5G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네이버의 기술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활용해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돕고 기술의 대중화와 미래의 현실화를 더 빠르게 앞당길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