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주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한국 네티즌들의 관심이 국내 대선 못지않게 뜨거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내 주요 포털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제공하는 빅데이터 검색어 트렌드를 통해 조 바이든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난 일주일(1~7일) 간 평균 검색량을 분석해본 결과, 대선결과가 확정되기 이전부터 한국 온라인 사용자들은 바이든에 관심을 기울였다. 5일 ‘바이든’의 검색량을 100으로 봤을때, 네이버에서는 일주일 간 ‘바이든’ 평균 검색량이 35, ‘트럼프’는 30이었고, 카카오에서는 바이든 40, 트럼프 36으로 나타났다.
미 대선 개표가 진행되던 초반(한국시간 4일 오전 8시)에는 양대 포털 모두 ‘트럼프’ 검색량이 ‘바이든’에 비해 높게 나왔다. 4일 기준 ‘트럼프’ 검색량은 네이버, 카카오에서 각각 98, 95로 ‘바이든(68, 66)’ 대비 높았다. 하지만 네바다, 펜실베이니아 등 주요 경합지에서 바이든 당선인의 역전이 점쳐지자 5일부터 ‘바이든’ 검색량(100)이 급증했고, 그 이후부터 ‘트럼프’ 검색량을 앞지르는 모양새가 됐다.
미 대선이지만 한국 네티즌들은 높은 관심을 보였다. 네이버 트렌드에서 제공하는 뉴스 댓글 작성자수는 이달 1~7일간 19만74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주인 10월 25~31일(12만185명) 대비 59% 증가한 숫자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20-11-08 20:01:27
당연하죠.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민가서 살고 있고, 6.25때 우릴 위해 피를 흘렸고, 지금도 미국에 가서 공부하고자 애쓰는 분들이 얼마나 많나요? 또한 우리가 헐벗고 못살때 경제부흥을 돕지 않았나요? 누가 뭐래도 우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