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468명 집단입국, 그 후 5년]<5·끝>인생 반전에 성공하다

  • Array
  • 입력 2009년 10월 30일 03시 00분


가족회사 창업… 남남북녀 결혼… “이젠 南주민 돕고 삽니다”

가족의 힘으로 홀로서기
아들 딸 며느리까지 취업
알뜰살뜰 저축 내집도 마련

남한 남자가 좋은 北女
남편 도움으로 안정된 생활
3명은 재산 1억이상 소유

‘성공한 탈북자’ 안정남 씨(가운데)가 29일 전기공사업체 ‘신광LED조명’ 앞에서 직원들과 함께 도면을 보며 환하게 웃고
있다. 안 씨는 경영난을 겪고 있던 이 회사를 정부에서 자금을 융자받아 지난달 1일 인수했다. 안 씨는 인수 전에는 이 회사
직원이었다. 포천=박영대 기자
‘성공한 탈북자’ 안정남 씨(가운데)가 29일 전기공사업체 ‘신광LED조명’ 앞에서 직원들과 함께 도면을 보며 환하게 웃고 있다. 안 씨는 경영난을 겪고 있던 이 회사를 정부에서 자금을 융자받아 지난달 1일 인수했다. 안 씨는 인수 전에는 이 회사 직원이었다. 포천=박영대 기자
탈북자 안정남 씨(53)는 지난달 1일 전기공사업체 ‘신광LED조명’의 사장이 됐다. 지난해 12월 입사해 현장 직원으로 일하다가 회사가 경영난을 겪으면서 전임 사장이 퇴진하자 정부에서 창업 지원 자금 2000만 원을 융자 받아 회사를 인수했다. 청진자동화단과대학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한 안 씨는 북한에서 전기 관련 일을 해 노동당 간부까지 했다. 한국에 온 뒤에도 대학에서 전기기능장 과정을 1년 수료하고 전기안전관리사 자격증을 따는 등 창업을 위해 열심히 준비를 해 왔다. 창업 첫 달 1300만 원이었던 매출이 이달에는 2000만 원을 넘어설 정도로 출발은 순조로운 편이다.

이 회사의 직원 7명 중 3명은 그의 아들이다. 2004년 함께 입국한 세 아들은 아버지가 회사를 인수하자 하던 일을 그만두고 와서 아버지 일을 돕고 있다. 배송 업무를 하는 큰아들(28)과 막내아들(23)에게는 월급으로 각각 150만 원과 120만 원을 주고, 자재 관리 업무를 하는 둘째 아들(25)의 월급은 100만 원으로 정했다. 그는 “이번에 창업을 하면서 계산을 해보니 재산이 1억 원이 조금 넘었다”라며 “세 아들이 모두 올해 결혼해 이제 며느리까지 합치면 총 6명인데 다들 제 앞가림 하고 있고 큰 걱정은 없다”고 말했다.

○ “기술 있으니 큰소리 칠 수 있어”

2004년 7월 입국한 탈북자 468명 중 취재팀이 접촉한 200명 대부분은 경제적으로는 빈곤층으로, 사회적으로는 남한 사회에 녹아들지 못하고 이방인으로 살고 있었다. 하지만 그 중 일부는 남한 사회에서 ‘홀로서기’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이순태 씨(47·이하 가명) 가족은 3명이 모두 성공적으로 남한에 정착했다. 이 씨는 부인과 함께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서 인테리어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중고 싼타페 자동차를 갖고 있으며 월평균 300만 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부부는 5년 동안 북한에 있는 가족에게 1300만 원 정도를 보냈다. 이 씨는 북한에서 건설대학을 졸업하고 중국에서도 건축 관련 일을 했지만 한국에서는 1년 동안 일용직으로 일했다. 그는 “일용직으로 일할 때 7만 원을 받으면 용역업체에 10%를 떼어주고 6만3000원을 받고 일할 때가 가장 힘들었다”며 “쉬지 않고 일해도 손에 쥐는 돈이 몇 푼 안 돼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그때마다 ‘열심히 하면 된다’고 각오를 다졌다”고 말했다. 일을 잘한다는 소문이 나면서 일거리를 소개해 주는 사람들이 생기자 가게를 열었다. 일거리를 준다고 하면 아무리 멀어도 마다하지 않았다. 3년 동안 전국을 세 바퀴 돌았다고 했다. “저는 탈북자라는 사실을 굳이 숨기지 않습니다. 기술이 있으면 남한사람들한테도 큰소리 칠 수 있습니다.”

이 씨의 딸 이윤선 씨(21)는 검정고시를 거쳐 연세대 2학년에 재학 중이다. 그는 해외연수까지 다녀왔다. 남한 생활의 만족도를 물었더니 이 씨는 10점 만점에 8점, 부인은 9점, 딸은 10점이라고 대답했다.

전태선 씨(49)네 가족은 월수입이 600만 원으로 탈북자 200명 중 가구 소득이 가장 높았다. 전 씨와 큰아들, 딸이 경기 화성시에 있는 휴대전화 렌즈 제조 회사에서 정규직으로 일하면서 월급으로 200만 정도씩 받는다. 전 씨가 들어오고 2년 뒤 두 아들과 딸도 모두 한국으로 들어왔다. 그는 “신문광고를 보고 취업해 성실하게 일하다 보니 회사에서 내 딸과 자식들도 모두 받아줬다”고 말했다. 정부에서 제공한 49.5m²(15평) 임대아파트에 살던 전 씨 가족은 79.2m²(24평) 임대 아파트를 분양 받아 지난달 새 집으로 이사했다.

○ 남한 사람과 결혼하면 안정적 생활

안정된 직업이 있는 남한 남자와 결혼한 젊은 탈북 여성들은 경제적으로 윤택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억 원 이상 재산을 소유한 4명 중 안정남 씨를 제외한 3명은 모두 한국 남자와 결혼한 여성들이었다.

유연실 씨(30)는 2006년 12월 삼성전자에 다니는 남편과 결혼했다. 유 씨는 교회에서 알게 된 집사가 운영하는 음식점에서 남편을 처음 만났다. 이곳의 단골손님이었던 남편과 직장동료들에게 주인이 “여기 북한 아가씨들이 와 있다”고 소개를 했고 자연스럽게 합석하면서 만남이 시작됐다. 이후 1년간 교제 끝에 결혼에 골인해 세 살 된 아들과 함께 경기 용인시에서 79.2m²(24평) 아파트에서 살고 있다. 북에 두고 온 어머니와 남동생에게 종종 돈도 보낸다. 그는 “북에 있는 가족이 걱정이지만 이곳에서 비교적 여유롭게 살고 있다”며 “행복하다”고 말했다.

의정부시에 사는 김영임 씨(28)도 카센터를 하는 남편과 함께 66m²(20평)짜리 아파트에서 살고 있다. 경리직을 하고 있는 김 씨와 남편의 수입을 합치면 월 400만∼500만 원은 된다. 그는 “북한에서 몇십 년 동안 살다온 우리들에게는 남한이 타국이나 마찬가지”라며 “아무래도 한국 사람을 만난 사람이 당연히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아자동차 생산직 직원과 2005년 결혼한 강유나 씨(28)는 결혼 2년 만에 내 집 마련에 성공했다. 2억7000만 원에 분양 받은 아파트가 지금은 4억 원이 넘는다. 딸(5)과 아들(2)을 잘 키우고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게 꿈이다.

○ “이제는 베풀고 싶어요”

정착 초기 정부 지원을 받았지만 지금은 홀로서기에 성공해 다른 사람을 돕는 탈북자도 있다. 탈북자 전문 결혼중개업체에서 일하는 박정현 씨(51)는 어린이병원에 매달 10만 원 정도 기부하고 있다. 그는 “저희를 받아준 게 너무 고마웠지요. 이제 받은 것만큼 남한테 돌려줄 때가 됐지요”라고 말했다.

강예린 씨(37·여)는 낮에는 중소기업 사무직 직원으로, 밤에는 전문대 가정복지학과 1학년 학생으로 ‘주경야독’을 하고 있다. 수원시 세류동의 49.5m²(15평)짜리 원룸에서 전세로 살면서 5000만 원 정도의 재산도 모았다. 그는 사회복지사가 돼 탈북 형제들을 위해 일하는 게 꿈이다. “자원봉사를 해보니 저도 누군가에게 필요한 사람이더군요. 그게 감사했습니다. 궁극적으로 장애인과 노인들 복지를 위해 봉사하며 살고 싶습니다.”

▼고학력-전문직 출신이 적응 잘해
경력보다는 자신감-적극성 더 중요▼
■ 월소득 200만 원 이상 20명 분석해보니

같은 시기에 남한 생활을 시작한 탈북자들의 현재 생활수준을 갈라놓은 것은 뭘까. 동아일보 특별취재팀은 탈북자 200명 가운데 개인 소득이 ‘200만 원 이상’이라고 답한 탈북자 20명의 특성을 분석했다.

북한에서의 직업이나 학력이 남한 사회에서 취업하는 데 직접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북한에서 전문직이었거나 고학력자였던 사람들은 남한 사회 정착에 적극적이었고, 그들의 적극성은 높은 소득으로 이어졌다.

북한에서 ‘당 일꾼(당원)’이었던 임선태 씨(51)는 현재 공구상 점원으로 일하며 월 200만 원가량을 번다. 임 씨는 정착 초기 딱히 할 수 있는 일이 없어 몇 년 동안 막노동판을 전전했고, 일자리를 찾아 미국에 갔다가 오기도 했다. 그는 곧 공구상을 차릴 계획이다. 그의 성실성을 눈여겨본 사람과 함께 동업을 할 생각이다. 임 씨는 “앞으로 어떻게 사는가 하는 건 순전히 본인 손에 달린 것 같다”며 “이를 악물고 열심히 사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북한에서 김정숙교원대학을 나와 인민학교 체육교사로 일했던 한금진 씨(43)도 하나원을 나온 뒤에는 5개월 정도 무직이었다. 그는 막노동판에서 어깨너머로 배관 기술을 익혀 지금은 한 달에 200만 원 이상을 번다. 탈북자들의 한국 정착을 연구하는 연세대 사회학과 염유식 교수는 “북한에서 당원이나 고학력자였던 경우 자신감이 있고 진로 결정도 빠르다”며 “자본주의 생활양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성취동기가 강한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신광LED조명’을 창업한 안정남 씨 가족이나, 한 달 소득이 600만 원인 전태선 씨 가족에서 알 수 있듯이 가족 중에 돈을 벌 수 있는 성인이 많을수록 경제적으로 자립하기가 쉬웠다.

남한 사람의 도움을 받은 탈북자들은 비교적 쉽게 한국사회에 적응했지만 그 수가 많지는 않았다. 인천 부평구의 물류회사에서 정규직으로 일하는 안청룡 씨(33)는 취업할 때 남한 사람의 도움을 받았다. 탈북 과정에서 한국 선교사가 꾸린 지하교회를 찾아가 1년 6개월 동안 성경공부를 했고, 입국 뒤 한국 교회의 전도사를 소개받았다. 두어 달간 안 씨를 데리고 일하며 지켜본 전도사가 현재의 직장에 안 씨를 소개했다.

하지만 상당수 탈북자는 인터뷰에서 “한국사회는 인맥이 중요한데 우리는 그게 없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리스도대에서 사회복지학을 가르치며 탈북자들의 경제적 정착을 연구하는 유시은 박사는 “인맥의 필요성을 느꼈을 때는 이미 남한 사람들과의 접촉 범위가 좁아져 있는 사례가 많다”며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남한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자리를 정부 차원에서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팀장=황진영 기자 buddy@donga.com
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우정열 기자 passion@donga.com
황형준 기자 constant@donga.com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신민기 기자 minki@donga.com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