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구자룡]중국, 한국 사정 꿰뚫고 있다

  • 입력 2009년 8월 31일 02시 59분


중국 중서부에 있는 닝샤(寧夏) 후이(回)족 자치구 정부가 대규모 국제무역박람회를 열면서 외신기자를 초청해 이달 중순 닝샤 중심 인촨(銀川)을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행사에서 만난 자치구의 한 공무원이 한국 기자를 만나 반갑다며 짧은 시간이지만 많은 얘기를 했다. “이번에 돌아가신 전직 대통령은 민주주의에 큰 기여를 했다지요. 한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다면서요. 외환위기를 한 번 겪어서인지 회복이 빠른 것 같아요. 어떤 한국 연기자가 요새 누구와 결혼했다면서요.”

외사처(外事處) 소속의 공무원이라 외부와 자주 접하겠지만 마치 한국 신문의 제목 정도는 훑어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닝샤에 장기 거주하는 한국인은 유학생 16명과 주재원과 사업가 등 25명이라고 한다. 한국에 닝샤는 그만큼 오지다. 하지만 그곳 중국인들은 우리가 닝샤를 아는 것보다 훨씬 한국을 잘 알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베이징(北京)에서 택시운전사와 얘기를 나눠보면 대부분 한국에 대해 아는 것이 많고 칭찬도 자주한다. 그들이 운전하는 자동차가 현대자동차와 베이징 시 합작회사 제품인 것 때문만은 아니다. 하루 12시간 2교대로 피곤할 텐데도 언제 봤는지 한국의 최신 뉴스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이런저런 말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나로호 위성 발사가 미뤄졌다가 다시 발사된 것, 두 번째 발사 때의 문제가 무엇인지 궁금해한 운전사도 있었다. 심지어 쌍용차 평택공장에서 벌어진 파업을 자세히 알고 있는 운전사도 있었다.

중국이 한국보다 대국이고 수출입 1위국이어서 우리가 더 중국을 잘 알아야 할 텐데 오히려 중국이 한국을 더 잘 알고 있는 것 같아 경계의 마음을 가진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주중 한국대사관이 양국 간 지방자치단체 교류현황을 정리해 펴낸 ‘한중 지자체 교류현황 백서’에는 눈에 띄는 대목이 있다. 양국 지자체 소개란에 자매 우호 관계를 맺은 도시 담당자도 안내돼 있는데 중국 측 담당자 중에는 ‘한국어 가능’이라는 표시가 매우 많이 눈에 띈다. 중국 교포도 있지만 한족도 적지 않다. 반면 한국 지자체의 담당 공무원 중에 ‘중국어 가능’은 거의 없다.

중국에는 현재 4년제 70여 곳을 포함해 180개 대학에 한국어과가 개설돼 있고 학생은 1만8000여 명에 이른다. 지난해 말 현재 한국 내 중국 유학생은 4만4700여 명으로 국가별로는 가장 많다. 중국 대학 한국어과에는 ‘네이티브 한국인’이 부족하다. 지린(吉林) 성 옌지(延吉) 시에 있는 연변과학기술대에는 ‘네이티브 한국인’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쓰촨(四川) 성 청두(成都)에서 교환학생으로 온 여학생을 만난 적이 있다. 그만큼 열심이다. 재중국 한국 투자기업에 근무하는 중국인 직원 약 70만 명도 한국과 한국인을 유심히 보고 있을 것이다.

지난달 안후이(安徽) 성 허페이(合肥)에서는 자식을 한국으로 유학 보낸 학부모들의 모임이 있었다. 여기에 참가했던 한국지방자치단체국제화재단 베이징사무소의 이종성 소장은 학부모들의 한국어 교육열에 놀랐다고 한다. 한국에도 중국이나 중국어를 배우려는 ‘차이나 열기’가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중국어를 가르치는 어학원에는 사람이 넘쳐난다. 가까이에 있는 13억 인구의 중국에 압도되지 않도록 중국이 우리를 아는 것보다 우리가 중국을 더 잘 알아야겠다는 경각심을 가져야겠다.

구자룡 베이징 특파원 bonh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