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 카페]‘카페’ 메뉴마다 경제 뒷얘기 맛 쏠쏠

  • 입력 2007년 12월 22일 02시 55분


코멘트
《동아일보 경제섹션인 동아경제는 2007년 한 해 동안 121편의 ‘이코노카페’를 게재했습니다. 이코노카페는 일선 기자들의 취재 뒷얘기를 소개하는 코너로 주제와 소재에 제한이 없습니다. 이런 특성을 살려 경제 현장의분위기를 생생하게 묘사하고 경제 주체들의 고민과 애환을 가감 없이 전하려 애썼습니다. 올해 이코노카페에 비친 경제 각 분야의 모습을 되돌아봅니다.》

▼기업들 “바꾸고 또 바꾸자”▼

기업 임원들이 주말에 골프채 대신 책을 들고 공부하는 새 트렌드를 소개했습니다. 회사원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게 임원입니다. 그럼에도 주말까지 책과 씨름해야 하는 걸 보면 기업들의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가늠할 수 있겠지요.(11월 6일자)

삼성전자가 미국 IBM으로부터 경영컨설팅을 받고 있답니다. ‘관리의 삼성’이라는 틀을 깨고 ‘창조경영’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거지요. 1등 기업도 변화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는 현실을 담았습니다.(10월 27일자)

패션브랜드 쌈지가 ‘쌈지 사운드 페스티벌’을, 보수적인 사풍(社風)으로 유명한 대성산업은 ‘대성 디큐브 문화축제’를, 한국HP는 정기 음악회를 열고 있다는 소식도 실었습니다. 업종과 규모를 막론하고 기업들은 끊임없이 진화합니다.(10월 24일자)

▼시장 모르는 정부▼

반면 정부는 아직도 갈 길이 먼 것 같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기업들이 신기술 개발로 제품 원가를 절감해도 기존 가격을 유지하면 제재하겠다는 황당한 규제를 도입하려다 동아일보의 문제 제기로 무산됐습니다. 공정위 안대로 공정거래법 시행령이 발효됐다면 어떤 기업이 원가를 낮추려고 노력하겠습니까.(9월 7일자)

또 일부 부처나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사업을 발주하면서 공사비를 제때 주지 않아 건설사가 자체 자금으로 ‘외상공사’를 한다는 속 터지는 소식도 전했습니다.(9월 4일자)

이 밖에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산업자원부 공무원들이 야당인 한나라당을 비판하는 내용을 e메일로 보낸 사실을 포착해 따끔하게 비판했습니다.(8월 31일자)

아직도 공복(公僕)의 본분이 뭔지 모르는 공무원이 참 많더군요.

▼말 바꾸는 경제수장▼

올해는 사실상 현 정권의 마지막 해였지만 청와대와 ‘코드’를 맞추려는 관료들의 행태는 여전했습니다.

이자제한법에 반대했던 권오규 경제부총리는 대통령이 “불법 사금융 피해 종합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자 단박에 “이자제한법에 동의한다”고 말을 바꾸는 등 경제 관료로서의 처신이 적절치 않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7월 16일자)

김용덕 금융감독위원장은 취임 8일 만에 내놓은 첫 작품이 기자실 공사와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 통제여서 정권의 눈치를 너무 보는 게 아니냐는 구설에 휘말렸습니다. 당시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로 금융시장 불안이 증폭된 상황이었습니다.(8월 16일자)

관료는 아니지만 이동걸 금융연구원장도 정치적 편향성 논란에 휘말렸고(10월 17일자), 한국은행은 고액권 초상인물을 선정하면서 ‘보이지 않는 손’의 눈치를 봤다는 의혹에 휩싸였습니다.(11월 8일자)

▼엉망이 된 부동산 시장▼

반(反)시장적 부동산 정책의 폐해도 따끔하게 지적했습니다. 중견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는 시장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한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부의 무차별적인 규제가 화(禍)를 키운 측면도 큽니다.(9월 14일자)

국세청마저 우려할 정도로 종합부동산세가 급등했고(11월 10일자), 민간 부동산 시장을 꽁꽁 묶어 둔 정부가 균형개발을 한다면서 보상금을 살포한 뒤 수령자들의 뒷조사를 하는 앞뒤 안 맞는 행태도 비판했습니다.(3월 12일자)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추진하면서 직원들에게 각종 수당을 주기로 해 사실상 ‘보너스 잔치’를 벌이는 씁쓸한 현실도 공개했습니다.(12월 13일자)

▼소비자 주권에 대한 각별한 관심▼

독자 여러분의 권리를 지키려는 노력도 소홀히 하지 않았습니다. 휴대전화 요금이 안 내리는 진짜 이유는 과점(寡占) 체제를 고수하는 정부의 통신정책 탓이라는 점을 꼬집었습니다. KTF SK텔레콤 LG텔레콤의 3자 구도를 계속 유지시키다 보니 경쟁이 제한된 거지요.(9월 28일자)

이러다 보니 이동통신사들은 ‘고객 빼앗아 오기’엔 열심이지만 요금 인하나 서비스 개선에서는 서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3월 5일자)

유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정유사마다 휘발유 값이 비슷한 데 대해 기업들은 경쟁 때문이라고 해명하지만 담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8월 8일자)

대형 포털사이트들이 불법 음란사이트에 들어갈 수 있는 우회 프로그램을 방치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포털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진 만큼 책임도 무거워져야 하지 않겠습니까.(6월 25일자)

동아일보 경제부 기자들은 내년에도 이 코너를 통해 독자 여러분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 드릴 것을 약속합니다.

정리=고기정 기자 ko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