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송문홍/장군 묘(墓)

  • 입력 2004년 2월 27일 19시 05분


코멘트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명당으로 손꼽히는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는 43만2500평의 너른 부지 위에 5만4455위의 애국선열이 잠들어 계신 국가의 성역(聖域)이다. 이곳의 장병 묘역은 장군 묘역(355위), 장교 묘역(4487위), 사병 묘역(4만6559위), 군무원 묘역(1952위) 등으로 구분돼 있다. 국립묘지에는 이 외에도 국가원수 묘소, 임정(臨政)요인 묘역, 애국지사 묘역, 국가유공자 묘역, 경찰 묘역 등이 조성돼 있다.

▷죽어서 국립묘지에 묻히는 영광을 누릴 수 있는 대상은 유공 군인 및 순직 경찰관, 국장(國葬) 또는 국민장(國民葬)으로 장의된 인물 등 매우 제한적이다. 얼마 전 남극 세종기지에서 사망한 전재규 대원을 이곳에 안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끝내 성사되지 못했다. 미국의 알링턴 국립묘지나 중국의 바바오(八寶)산 혁명공묘에는 참전용사 외에 정치 사회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에 공헌한 사람들이 묻혀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의 안장 기준은 너무 엄격한 게 아니냐는 비판도 있다.

▷얼마 전 국방부가 입법 예고한 국립묘지령 개정안을 놓고 파문이 일었다. 그동안 편법으로 이뤄져 온 장군 묘역의 봉분을 합법화하겠다는 내용이 네티즌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고, 급기야 고건 총리는 어제 국립묘지령 개정 작업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그렇지 않아도 대령급 이하 군인은 모두 화장돼 1평짜리 묘역에 묻히는 데 비해 장군은 8평 묘역에 매장되는 것이 시대역행적 차별이라는 비판이 많았다. 그런 터에 국방부가 이번에 ‘꼼수’를 쓰려다 질타를 받았으니 국민의 마음을 너무 헤아리지 못한 것 같다.

▷국립묘지에는 6·25전쟁 당시 전사했지만 시신조차 찾지 못한 10만4000여 용사가 위패봉안관에 모셔져 있고, 지하 납골당에는 6200여위의 무명용사 유골이 안치돼 있다. 그 수많은 호국영령이 잠들어 있는 위패봉안관은 면적이 210평, 납골당은 고작 45평에 불과하다. 하지만 국립묘지를 찾는 참배객은 넓고 봉분까지 갖춰진 장군 묘역보다 이곳에서 더 짙은 애국선열의 체취를 느낄 것이다. 묘지 넓이나 봉분의 유무가 죽은 이의 위엄을 더 높여 주는 것은 아니다.

송문홍 논설위원 songm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