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홍찬식/두 재일교포

  • 입력 2001년 6월 3일 18시 39분


얼마 전 우연하게도 재일교포 예술인 두 명을 잇따라 만날 기회가 있었다. 한 사람은 국립발레단 최태지 단장(42)이었고 다른 사람은 무용가 김리혜씨(48)였다.

이들에게 새삼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비록 재일교포라고는 하지만 한국말을 전혀 못하는 백지상태에서 혈혈단신 모국을 찾아와 뿌리를 내리고, 이제는 우리 문화계에서 당당히 ‘성공한 예술가’로 자리잡은 점 때문이었다.

최태지 단장은 83년 국립발레단 초청을 받아 발레리나로서 처음 한국 땅에 발을 내딛은 뒤 96년 37세의 나이에 국립발레단 단장으로 취임했다. 국내 발레단 사상 최연소 단장이었다. 프리마 발레리나로 뛰어난 활약을 보였지만 국립발레단을 맡은 이후 예술경영자로도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김리혜씨는 문화계에 다소 생소한 얼굴이다. 사물놀이의 대명사처럼 되어 있는 김덕수씨가 그의 남편이지만 별로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살아왔기 때문이다.

그는 20세 때 처음 조국을 방문한 뒤 우리 춤에 매료되어 81년 한국에 정착했다. ‘승무’의 달인인 이매방 선생에게 춤을 배워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승무’와 ‘살풀이춤’ 이수자로 활동 중이다. 그의 예술세계도 높이 살 만하지만 국내인들도 배우기를 꺼려하는 전통무용을 외국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김씨가 맥을 잇고 있다는 것이 무엇보다 대단하게 느껴진다. 이들의 공통점은 20대 초반의 나이에 재일교포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조국에 이끌려 한국을 찾은 점이다. 같은 민족으로서의 동질감이 그들의 발길을 모국으로 향하도록 했을 것이다.

하지만 조국 생활은 고난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김리혜씨는 “계모한테 자란 아이가 생모를 찾아갔지만 이전에 겪었던 소외감보다 더 큰 무관심을 느꼈다”고 고백했다. 이들의 뛰어난 활약은 ‘낯설음’ ‘따돌림’ ‘좌절’ 같은 힘든 장애물을 뛰어넘어 얻은 것이어서 더 감동적이다.

이들을 만나면서 또 한가지 머리에 떠오른 것은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였다. 요즘 재일교포들은 교과서 문제를 놓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처지에 놓여 있다고 한다. 일본 사회에서 교포들은 영원히 ‘마이너리티’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탓이다. 두 나라의 관계가 불편할수록 이들도 불안한 것은 어쩌면 이들의 태생적인 조건이다.

우리는 평소 재일교포에 대해 무관심한 편이다. 우리는 일본의 교과서 왜곡 문제가 불거질 때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정작 굴절된 두 나라 역사 관계의 상징적인 피해자인 재일교포들을 얼마나 배려해 왔는지, 또 같은 핏줄로서 진심으로 포용하려 했는지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이들 두 명의 예술가가 모국에서 성공한 것은 우리도 차츰 ‘열린 사회’로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고무적이다. 하지만 한편으로 꿈을 안고 고국의 문을 두드렸다가 상처와 좌절을 안고 돌아간 교포들도 없지 않을 것이다.

최태지 단장과 김리혜씨처럼 한국 사회의 역진입에 성공한 교포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아울러 우리 사회도 재외동포를 그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폭넓은 시각을 가졌으면 좋겠다. 이런 것들이야말로 세계화시대를 살아가는 ‘기본’이 아닌가.

홍찬식<문화차장>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