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칼럼]박승관/경제위기 진단-해법제시 돋보여

  • 입력 2000년 11월 17일 18시 32분


국가경제에 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실업 문제, 현대건설 문제, 경기위축 문제 등 나라 경제를 우려하는 기사들이 연일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상황에서 언론은 세심한 환경감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첫째, 언론은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사실보도에 치중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위기 감시에는 성공하면서 위기현실을 과장하는 폐단은 피해 나가야 한다.

둘째, 언론은 위기현실에 대한 다각적인 전문가적 논의를 수렴해 해법을 모색하는 토론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 점에서 동아일보가 6회에 걸쳐 연재한 ‘위기의 경제, 해법은 있다’는 적절하고 유용한 기획이었다. 경제위기의 근원과 처방에 관한 심도 깊은 전문가적 식견을 결집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면서 대립적 견해를 조화롭게 대비시킨 기사로는 ‘실업자수 노동계 130만, 정부 110만’(11일자 A25면)을 꼽을 수 있다.

또 ‘장기불황 우려’(14일자 A1면)는 돈은 풀려도 자금사정은 개선되지 않고 설비투자는 위축되는 우리 경제의 이상 징후를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면서 심층적으로 분석한 수작이었다.

그러나 일부 경제 기사는 객관적 자료의 제시 없이 전문가들의 견해에만 의존하거나 정부나 민간연구소의 보고서를 요약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가령 ‘공적자금은 공돈인가’(15일자 A5면), ‘내년 이후 스태그플레이션 우려’(13일자 A8면)는 이런 점에서 미흡함을 보였다. 사실적 자료에 의해 보강되지 않는 주장이나 의견만으로는 훌륭한 기사가 될 수 없다.

이와 함께 기업이나 경영인들의 홍보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듯한 경제기사들이 눈에 띈다. 총 8면을 할애해 독립섹션으로 편집한 ‘IMT―2000 특집―21세기 통신혁명’(16일자 D1∼8면)은 기획 의도와는 달리 결과적으로 IMT사업 참여 경쟁업체들의 홍보면처럼 꾸며지고 말았다. ‘CEO가 투자자에게’(13일자 B3면)도 이 점에서 마찬가지로 보인다. 경제기사에 산업계의 동향과 비전이 빠질 수는 없겠으나 경제란이 특정 기업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선전홍보란으로 전락해서는 안된다.

이번 주의 동아일보는 ‘집중추적―오늘의 이슈’와 ‘이슈와 화제’에서 중요한 사회적 쟁점들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안면도 모래언덕 훼손을 심층분석한 ‘안면도 모래언덕이 사라진다’(13일 A29면), 후방지역 대인지뢰 매설실태를 다룬 ‘우리 뒷동산에도 지뢰 결코 안심못한다’(15일자 A29면), 가리왕산 철조망의 동물 생태계 위협문제를 다룬 16일자 A25면 오늘의 이슈 ‘허리잘린 생태계 보고 앞날은’, 경기 파주시 미군 사격장 설치에 따르는 재산권 행사 침해문제를 다룬 ‘내 땅서 농사짓게 놔두오’(15일 A27면)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동아일보가 국가사회적 위기 현실을 쟁점화해 그 원인을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포럼으로서의 역할을 다해주기 바란다.

박승관(서울대 교수·언론정보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